티스토리 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환자가 다시 발생해 보건당국이 초비상 상태다. 28명의 사망자를 낸 2015년 워낙 혼쭐이 나 이번에는 비교적 차분하고 신속한 초동대처가 이뤄져 다행히 이전 같은 사태로 확산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한국 의료 시스템은 해외에서 배움을 자청할 정도로 잘 만들어져 있다. 전 국민에게 건강보험 가입을 강제함과 동시에, 의사들이 직접 의료기관을 개설해 경쟁하게끔 하는 등, 시장 경쟁의 장점을 취하면서도 공공의 통제 장치를 함께 마련했기에 가능했다.

국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확잔 발생에 따라 10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입국 게이트에서 질병관리본부 국립검역소 직원이 열화상 카메라로 승객들의 체온을 재고 있다. 김영민 기자

하지만 전염성 질환 유행과 같은 긴급 시에도 이런 체제가 잘 작동할지는 의문시되고 있다. 전염성 질환은 환자를 유치할수록 병원의 손해가 커지기 때문이다. 3년 전 메르스 사태 때 많은 병원들이 메르스를 진단할 수 없다거나, 메르스 환자가 다녀가지 않았다는 공고문을 써 붙였다. 

한국 의료 역사는 ‘새 분기점’에 서 있다. 3년 전 메르스 사태 당시 한 의대 교수는 “메르스 바이러스에게 최고의 숙주는 낙타가 아니라 구태의연한 과거 대한민국 보건의료 체계였다”고 발언했다. 역설적이게도 과거 메르스 사태를 겪으면서 국민들이 얻은 교훈은 ‘보건의료가 우리 국가와 공동체를 떠받치는 매우 중요한 공적 자산’이라는 점이다. 이를 통해 한국 의료의 고질적 병폐를 해결할 수 있는 전에 없던 기회를 제공했다고도 할 수 있다.

먼 훗날 한국 의료의 역사가 메르스 이전과 이후로 나뉠 수 있도록, 정부와 의료계, 국민 모두가 유비무환의 자세로 힘을 합쳐 한국 사회가 전염병으로 인해 다시 사회적 패닉상태에 빠지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

<정석윤 | 교수·농협구미교육원>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