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재인 대통령 취임 1주년을 맞아 만든, 청와대 마크가 들어간 기념품 수십 종류의 판매가 돌연 중지됐다. 청와대 관람객 등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기념품을 새로 제공하기 위해 지난 1월 디자인 업체에 용역을 의뢰하였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에 그 도안을 제공하여 기념품을 제작 판매토록 하였는데 ‘표절’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필자도 지난 5일 청와대 사랑채에 갔는데 여러 사람이 새로 선보이는 기념품을 사려 했지만 ‘국민께 말씀드립니다’라는 사과문이 담긴 A4용지 한 장만 붙어있을 뿐이었다.
이번 문제에 대하여 공예계에 50여년간 종사해온 사람으로서 하소연한다. 제발 이런 일은 공예문화 전문가에게 맡겨 달라고. 왜 이런 사소한 것까지 굳이 청와대에서 관여하느냐는 것이다.
박근혜 정부 때 중국의 시진핑 주석에게 주칠함을 선물했는데, 당시 중곡동 고가구 수리점에서 중고품을 저렴하게 구입해서 선물했다고 신문에 보도되는 등 망신(?)을 당한 것도 청와대 아니었던가 싶다.
얼마 전 인사동 한국관광명품관에서 베트남산 나무 수저세트 손잡이에 옻칠 그림만 그려서 고가로 팔고 있다고 소비자가 직접 현물을 들고 협회를 찾아오는 등 조잡한 동남아산 공예품들이 국·공립 등 관이 주도하는 판매점에서 판매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런데 새로운 디자인, 친근감이 있는 우리 공예품을 개발하지는 못할망정 외국 것을 표절한 회사에 디자인을 의뢰한 청와대나 이것을 사전에 감지하지 못할 정도의 정보력을 가지고 제품을 제작한 공예문화진흥원 등을 보면서 대한민국 공예계의 현실을 보는 듯하여 울분이 치솟는다.
이번 경우를 계기로 삼아 현장의 공예 장인, 작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공예산업 문화 정책을 펴주기를 간절히 바란다.
<이칠용 |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일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렇게]‘한국의 발트뷔네’ 꿈꾼다 (0) | 2018.05.30 |
---|---|
[기고]목숨을 구하는 ‘화재 골든타임’ 사용법 (0) | 2018.05.30 |
[이렇게]동물카페, 사랑과 소비의 차이 (0) | 2018.05.30 |
[공감]가난과 가난이 싸울 때 (0) | 2018.05.30 |
[사설]심화되는 소득 격차, 지지부진한 소득주도 성장 (0) | 2018.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