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러스트_김상민 기자

한자어의 대다수는 한자문화권에서 공통으로 사용되지만, 각 나라 내에서만 통용되는 한자어도 적지 않다. 의외의 경우 중 하나가 ‘추석(秋夕)’이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추석이라는 말은 쓰이지만 말 그대로 ‘가을 저녁’이라는 뜻이다. 우리나라에서만 오래전부터 고유의 명절인 한가위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해 왔다. 중국도 음력 8월15일을 4대 명절로 치지만 그 명칭은 중추(仲秋 혹은 中秋)이다. 가을 석 달 중 가운데 달, 그중에서도 한가운데 날을 가리킨다.

선선한 바람이 부는 가을 저녁 넉넉한 보름달 아래 풍성한 결실을 즐기는 추석은 농경사회를 살던 이들에게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날이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기 바란다는 말이 그래서 나왔을 것이다. 예로부터 시인들은 이 좋은 날을 시로 읊어 왔다. 친지와 함께 즐기는 명절의 풍성함을 노래한 시들도 다양하지만, 그 기쁨이 클수록 더욱 커지는 향수와 그리움을 담은 시도 못지않게 많다. “중추삼오야(仲秋三五夜)”로 시작하는 백거이의 시는 달빛 걸린 마루에서 술잔 앞에 홀로 앉아 멀리 떨어져 있는 네 명의 벗을 하나씩 떠올리며 그리움을 절절하게 노래하여 많은 이들의 심금을 울렸다.

보름달이 주인공인 추석이지만 기대승은 아직 다 차지 않은 추석 전날의 달을 보며 “달이야 내일 밤이 더 좋겠지만, 나는 오늘 먼저 달을 만나네”라고 읊었다. 날이 언제 맑았다가 흐려질지 알 수 없는 일, 가을은 꼭 보름이 아니더라도 환한 달빛 하나만 있으면 밤새워 마실 만한 이유가 충분하다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이곡은 “중추절도 열엿새에 달빛 더욱 밝은 법”이라고 노래했다. 추석의 달빛과 중양절(重陽節: 9월9일)의 국화에만 열광할 뿐 하루 넘긴 달과 국화에는 눈길도 주지 않는 것이 세상인데, 자신은 정작 모두의 관심이 지나간 뒤에 오히려 더욱 밝은 달빛과 은은한 국화 향을 남몰래 즐긴다고 했다.

각종 매체의 발달로 모두의 시선이 한곳으로만 쏠리기 더 쉬운 때다. 추석 연휴에는 눈과 귀를 잠시 돌려서 정말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몰아치는 말들의 범람 속에 우리가 잃어버리는 것은 없는지 차분하게 바라볼 일이다. 광풍제월(光風霽月), 선선한 바람과 함께 구름이 열리며 드러나는 환한 달을 만날 수 있는 추석이면 좋겠다.

<송혁기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일반 칼럼 > 송혁기의 책상물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친구가 필요한 시대  (0) 2019.10.14
참으로 구차한 시대  (0) 2019.09.25
고단한 일상의 찌꺼기를 없애려면  (0) 2019.08.28
사람이 변했다  (0) 2019.08.14
면장을 면하려면  (0) 2019.07.31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