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함께 살지는 않지만 아내와도 같은 존재(不室而妻).’ 이덕무가 친구를 정의한 말이다. ‘피를 나누지 않은 형제(匪氣之弟)’라는 말은 익숙하지만, 친구관계를 부부에까지 견준 것은 과해 보인다. 18세기 조선에는 전생의 부부로 불린 친구도 있었다. 열 살 터울의 시인 신유한과 최성대는 서로의 시에 마음을 빼앗겨 평생 남다른 우정을 이어갔다. 두 사람이 방 안에서 즐겁게 나누는 대화 소리를 들은 주인집 노파가 꽃다운 여인을 숨겨둔 줄 알았다고 했을 정도다. ‘우정’이라는 어휘조차 낡게 느껴지는 오늘, 옛사람들의 우정에 대한 범상치 않은 일화들을 접하면 낡음이 낯섦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일러스트_김상민 기자

우정을 각별하게 여기는 전통의 출발도 <논어>에 있다. 공자가 감격스러운 어조로 처음 던진 말이 ‘배우고 익히는 기쁨’ ‘친구와 만나는 즐거움’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서운해하지 않는 인품’이다. <논어>가 그리 체계적이지 않은 대화록으로 이루어졌다고 해도 그 첫머리에 이 세 가지가 놓인 것은 의미심장하다. 공자가 평생 애독한 <주역>의 “군자는 친구와 함께 배우고 익힌다”라는 구절에 이해의 단서가 보인다. 배움으로 인한 내면의 기쁨을 함께 나누고 즐길 수 있는 존재가 친구다. 이 즐거움만 있다면 어떤 상황에도 흔들리지 않는 군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공자가 난세에 비웃음을 당하면서 끝까지 꿈을 잃지 않을 수 있었던 비결이 여기에 있다.

경제가 안 좋다고 하지만 물질적 풍요는 여전히 넘쳐나 보인다. 생활은 편리하고 누구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대다. 그런데 각자의 삶은 왜 이리 힘이 들까. 부의 편중과 기회의 불공정, 초고령사회 진입 등이 중요한 원인이겠으나, 그런 문제만 해결되면 행복해질 수 있을까? 가족과 마을이 무너지고 마음 나눌 대상이 사라진 자리에 인터넷이 만들어낸 새로운 관계망이 펼쳐진다. 그 신세계에서 소리 높여 속내를 토해 보지만, 그곳엔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또 다른 이익과 권력의 메커니즘이 광풍처럼 휘몰아친다. 박제가는 ‘말하고 싶다가도 만나면 말하지 않게 되는가, 하지 않으려던 말도 만나면 저절로 쏟아져 나오는가’를 보면 우정의 깊이를 짐작할 수 있다고 했다. 공허한 대상이 아니라 내 말을 깊이 들어줄 누군가가 절실히 필요한 시대다.

<송혁기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일반 칼럼 > 송혁기의 책상물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월의 방정환  (0) 2019.11.06
고니와 닭  (0) 2019.10.23
참으로 구차한 시대  (0) 2019.09.25
이번 추석에는  (0) 2019.09.11
고단한 일상의 찌꺼기를 없애려면  (0) 2019.08.28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