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歸於富村豪奢街(귀어부촌호사가)
尋非常口於陋巷(심비상구어루항)
“부자 동네 호사한 거리에서 돌아와
누추한 뒷골목에서 비상구를 찾네”
아파트 후미진 담벼락 아래에 누가 버렸을까, 약간은 때가 낀 흰 페인트 판자가 세워져 있었다.
나는 그걸 사진 찍었다.
그리고, 몇 년이 지나 다시 만난 사진을 보며 짧은 한시 짓는다. 그리고 큼지마악하게 출력해서
그 뒷골목 풍경에 어울릴 글씨를 쓴다. 그리고, 반(反)과 산(産)을 새긴 스탬프와 내 이름을 새긴 낙관을 찍는다.
“반산업”의 내 붓글 시리즈라는 뜻이다. 거기다 사채 업체 명함을 한 장 붙여 내 얘기를 끝낸다.
(난 저런 명함을 수십 장이나 가지고 있다. 대개, 요즈음 우리집 현관 앞이나 동네 길거리에서 주운 것들이다. 흔하다.)
몇 년 전에 ‘비상구’라는 사진전을 한 일이 있다.
문명 부적응자는 끝없이 비상구를 찾아 헤매고 결국은, 없다.
이 산업 문명은 열외도, 기권도 인정하지 않는다.
가혹하다.
어쨌든, 나는 저 찾을 심(尋)자를 좋아한다.
참 좋아한다.
<정태춘 싱어송라이터·시인>
'일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한유총, 궐기대회 접고 에듀파인 참여하는 게 맞다 (0) | 2019.02.25 |
---|---|
[정태춘의 붓으로 쓰는 노래]‘강촌농무’ 강마을 짙은 안개 (0) | 2019.02.25 |
[정태춘의 붓으로 쓰는 노래]노래, 마음이 부르지 (0) | 2019.02.25 |
[사설]사회·경제적 지각변동 부를 ‘가동연한 65세 상향’ 판결 (0) | 2019.02.22 |
[편집국에서]송파 세 모녀, 우공이산 (0) | 2019.02.22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