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가끔 헌책을 사면 그 안에 별것이 다 나온다. 책장과 책장 사이는 무언가 얇은 것을 숨기기 좋은 장소인 것이다. 나의 경험으로는 오래된 엽서를 본 적도 있고, 우표를 본 적도 있다. 꽃잎이나 나무 잎사귀도 흔하다. 여학생들이 그런 것들을 책갈피 사이에 넣어 두었다가 편지를 보낼 때 붙여 보내곤 했는데, 깜빡 잊어버리는 바람에 뒷날 헌책을 산 사람이 발견하는 것이다.

얼마 전에는 내가 사는 해운대와 가까운 일광 쪽으로 갔다가 고물가게에서 책을 몇 권 샀는데, 그 책 속에서 일제강점기의 ‘우편저금통장’이란 것이 나왔다. ‘東萊郡機張面’ ‘大日本婦人會 機張面支部 貯金組合’이란 푸른 도장이 찍혀 있고, 안에는 언제 돈을 얼마를 저축했는지 적혀 있었다. 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것이지만, 한편 재미있는 것이라 싶어 서가에 얹어 두었다.

옛날 책이라고 해서 다를 것은 없다. 어느 대학에 계시는 분에게 들은 이야기다. 고서점에서 책을 한 권 샀는데, 안에서 희한한 것을 보았노라고 하는 것이었다. 무슨 고서냐고? 흔하디흔한 <논어> <맹자> <중용> <대학> 이런 것이다. 집에 책을 가지고 와서 들추다 보니, 책갈피 안에 무언가가 있다. 고서는 인쇄한 종이를 접어서 책으로 맨다. 그러니 접힌 종이 안에 무언가를 넣을 수 있다. 그 무언가 끄집어내었더니, 좀 이상한 그림이다. 그림이라고? 무슨 그림? 공부하는 학생들이 보아서는 곤란한 그런 그림이다. 이쯤 말해도 모르시겠는가? 춘화, 다른 말로 포르노그래피다. 물론 빼어난 ‘작품’은 아니었지만, 그런대로 볼만한 것이었다고 한다. 이 책의 주인은 거룩한 성인의 말씀을 공부하다가 좀 지겨워지면 춘화를 꺼내서 감상했던 것인데, 그것을 넣어둔 것을 잊어버렸던 것이다.

어떤 장면이 떠오른다. 젊은 아들은 과거공부에 열중하고 있다. 하지만 시험공부란 예나 지금이나 얼마나 지겨운가. 하지만 엄한 아버지의 눈초리에 목이 늘 당긴다. 공자왈맹자왈을 수없이 반복하다가 스트레스가 쌓이면 책갈피에 넣어놓은 춘화를 꺼내보며 야릇한 상상에 빠진다. 아마도 이런 기억은 누구에게나 있으리라.

그런데 일은 늘 공교롭게 일어나기 마련이다. 실로 오랜만에 춘화를 꺼냈는데, 그때 마침 어험, 어험, 아무개 있느냐 하는 아버지의 음성이 문밖에 들린다. 후다닥 춘화를 책 속으로 집어넣고 ‘예’ 하고 답한다. 어디로 심부름을 갔다 오라는 하명이시다. 이러구러 세월은 흘러 그 책 속 어디에 춘화를 넣어두었는지 까마득히 잊고 만다. 그게 백수십 년을 뛰어넘어 어느 고서점에 출현했던 것이다.


말이 옆으로 빠지지만 불쑥 떠오르는 장면이 있다. 중학생 때 친구들 중 좀 올된 녀석들은 어디서 구했는지 이상한 사진을 가지고 왔고 쉬는 시간 교실 한구석에서 뭉쳐 그것을 보느라 선생님이 오신 줄도 모르고 있다가 결국 사진을 빼앗기고 사진을 가져온 녀석은 교무실로 불려가 출석부로 머리를 통타(痛打)당하기도 하였다. 아마 요즘 이런 책을 보는 학생은 없을 것이다. 인터넷에 그런 희한한 것들이 지천이니 말이다.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이란 책을 보면 책갈피 속의 물건과 관련해 흥미로운 이야기가 하나 실려 있다. 이 책은 규장각 서리를 지낸 유재건(劉在建)이란 인물이 편집한 책인데, 양반이 아닌 부류들(주로 중인 서리)의 전기를 모은 것이다. 조선후기에 역관·의관 등 기술직중인과 서울 각 관청의 서리들이 자의식을 가지고 문예운동을 활발하게 벌이는데, 대개 그런 인물을 중심으로 비양반층의 전기, 일화를 모아서 편찬한 책이다. 유재건은 이 책에 자신이 쓴 <겸산필기(兼山筆記)>를 잔뜩 인용해 두었다. 그중 홍윤수(洪胤琇)란 인물에 대해 짤막하게 쓰고 있다. 홍윤수는 가난한 독서가다. 양반이 아니니 과거에 응시할 일이 없다. 하지만 독서인이다. 그가 할 일은 필사(筆肆)·책시(冊市)를 오가는 것으로 생계를 꾸리는 것이었다. 무슨 붓가게나 서점을 냈다는 것은 아니고,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해 주고 구문을 받는 거간이 되었다는 것이다. 금속활자의 나라 조선에는 희한하게도 책을 만들어 파는 출판사란 것이 아예 없었고, 책을 파는 서점이란 것이 19세기나 되어서야 출현하였다. 아마 위의 책시란 것 역시 19세기의 것일 터이다. 사정이 이랬으니 책을 사기를 원하는 사람도 개인이고 팔기를 원하는 사람도 개인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양자 사이에서 중개를 하는 사람을 책쾌라고 한다. 책거간이란 뜻이다.

홍윤수가 하루는 자기 친구가 팔아달라고 내놓은 경서 몇 함을 구매해 주는 단골 책가게에 가져다주기 전에 훑어보는데 그 안에서 금·은과 대모갑(玳瑁甲), 곧 바다거북의 등딱지로 장식한 칼 한 자루가 있는 것이 아닌가. 제법 돈이 될 만한 것이었다. 처자식들이 늘 굶주리는 판이었다. 자신이 그 칼을 가진다 해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갈등이 없지 않았겠지만, 그는 즉시 친구를 찾아 칼을 돌려주었다. 이게 제법 의리 있는 일로 평가를 받아 기록에 남게 되었던 것이다. 물론 그렇기는 하다. 하지만 그 비싼 칼까지 책 속에 넣고 잊어버리는 경우도 있었던 것이다.

내가 대학 다닐 때 존경했던 어느 선생님께서 돌아가신 뒤 제자들이 서재의 책을 정리했는데, 그 책 중 하나가 희한한 것이었다. 책 안에 편지봉투가 하나 나왔는데, 현금 약간과 어디에 얼마를 썼는지를 꼼꼼하게 적은 종이쪽이 있었던 것이다. 그분이 활동하던 시절에는 인터넷뱅킹이란 것도 없었고 현금카드도 없었다. 월급을 종이봉투에 현금으로 넣어줄 때였다. 인품이 훌륭하신 분이었지만 어쩌다 생기는 현금을 한곳에 따로 두고 사모님 몰래 비자금을 관리했던 것이다. 그 점잖으신 분이 서재에서 사모님 보지 않게 봉투에 현금을 넣고 빼는 광경을 생각해 보면 웃음이 절로 난다. 하하! 그러고 보니, 나 역시 십 년 전쯤 어떤 논문집에 현금을 약간 넣어두고 뒤에 찾으니 씻은 듯이 없다. 착각을 했나 싶어 가지고 있는 논문집을 죄다 꺼내놓고 샅샅이 뒤졌지만 지금까지 찾지 못하고 있다. 몇 해 전 논문집들이 자꾸 불어나 일괄하여 버렸는데, 아마도 그 논문집에서 현금을 약간을 발견하고 기뻐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강명관 | 부산대 한문학과 교수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