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손을 든 학생이 삼분의 일을 넘었다. 세 명 중 한 명꼴로 어린 시절을 할머니 할아버지와 보냈다는 것이다. 의외였다. 대부분 일터에서 엄마 아빠가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혼자 저녁을 해결하는 어린 시절을 보냈을 줄 알았는데 적지 않은 학생들이 조부모의 훈훈한 손길을 기억하고 있다. 잊을 수 없는 음식을 주제로 한 글쓰기에서도 행복한 식탁은 할머니와 연관돼 있고 생애 최고의 순간에는 할아버지가 등장하는 경우가 잦다. 상대적으로 젊은 부모에 대한 ‘좋은 기억’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

지금 강의실에 앉아 있는 대학생들이 누구인가. 1990년대 초반에 태어났으니 초등학교 시절 저 구제금융 시기를 통과했을 것이다. 부모가 실직이나 폐업, 도산의 당사자였을 것이다. 천만다행으로 ‘경제 난민’ 대열에 속하지 않았더라도 친척이나 이웃 중 누군가 땅이 꺼지라고 한숨짓는 모습을 지켜보았을 것이다. 사춘기 시절, 자기 정체성에 대한 가슴앓이보다, 기성세대에 대한 이유 없는 반항보다 ‘경제적 공포’가 훨씬 더 깊이 각인된 것이다.

아이들이 청소년으로 자라나는 사이 구조조정, 명예퇴직, 비정규직, 고용 없는 성장, 승자독식과 같은 신조어가 관용어구로 자리 잡았다. 그러는 사이 부모들의 가치관 아니 자녀 교육관은 급격하게 ‘돈’으로 쏠렸다. ‘어떻게 해서든 좋은 대학에 보내야 한다.’ 대학 졸업장이 직업을 결정하고, 직업(연봉)이 삶의 질을 보장한다는 생각이 콘크리트처럼 단단해졌다.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들어가자 학교보다 학원이 훨씬 컸다. 친구들은 경쟁 상대였다. 소년·소녀들은 과도한 간섭과 과도한 무관심 사이를 오가며 혼자 자라났다.

이들에게 부모와 교사의 얼굴을 한 세상이 일러준 미래는 단 하나였다. 대학. 대학이 유일한 출구였다. 대학에만 들어가라, 그럼 그때부터 네가 하고 싶은 것을 다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대다수 대학생들에게 ‘새빨간 거짓말’로 드러난다. 경쟁의 터널을 빠져나온 대학생들 앞에 더 길고 어두운 터널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취업. 대학에 다니는 거의 유일한 이유가 취업이다. 더 가혹한 ‘입시’, 아니 최후의 관문으로 여겨지는 취업에 대한 학생들의 강박은 상상을 넘어선다.

벚꽃이 한창이던 지난 4월, 학생들에게 자유 시간을 줬다. 스마트폰을 강의실에 놓고 혼자서 캠퍼스를 거닐며 봄날을 만끽해보시라. 학생들이 돌아와서 쓴 글은 놀라웠다. ‘벚꽃을 보며 이렇게 한가한 시간을 보내도 되나’라고 자문한 글이 의외로 많았다. 취업을 걱정하느라 캠퍼스에 만발한 봄꽃조차 즐기지 못하고 있다. 문제는 이런 사태가 청년들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데 있다. 이들의 부모와 조부모, 그러니까 모든 세대가 경제적 공포 앞에서 주눅 들어 있다.

이 중에서도 발등에 떨어진 불이 노인, 독거노인 문제일 것이다. 어버이날 아침, 내 눈에 들어온 뉴스도 독거노인 실태에 관한 것이었다. 보건복지부가 이날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6개 시·도 독거노인 수가 5년 전에 비해 18.5%가 늘어났다. 전체 노인 다섯 명 중 한 명이 독거다. 지난해 노인실태 조사에 의하면 노인 열 명 중 세 명이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다. 게다가 가난하기까지 하다. OECD 국가 중 한국 노인의 빈곤율이 48.6%로 최고 수준이다. 노인은 지금 외롭고 아프고 가난하다.

학기 말에 ‘자율 과제’를 내준다. 방학 때 할머니 할아버지를 찾아뵙고 그분들이 살아온 이야기를 받아 적어보시라. 노인과 청년의 대화에서 근본적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노인은 자기 생애를 털어놓는 동안 생전 경험하지 못한 자기애와 만난다. ‘내가 헛산 게 아니구나’라는 자각이 스스로를 존귀하게 만든다. 이것이 스토리텔링의 위력이다. 이야기는 단순한 사실의 나열이 아니다. 경험과 느낌을 이야기로 구성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가 탄생한다.

강원 인제군 기린면 진동1리 경로당에 꾸려진 효(孝)합숙소에서 함께 지내는 노인들이 이야기를 나누며 웃고 있다. (출처 : 경향DB)


노인의 삶을 받아 적는 청년도 달라진다. ‘보통 사람의 삶 속에도 이렇게 엄청난 드라마가 들어 있구나.’ 인간과 삶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는 것은 물론 할아버지 할머니가 겪어온 시대에 대해서도 큰 그림을 그린다. 노인과 청년 사이에서 이뤄지는 스토리텔링이 교학상장(敎學相長)의 구체적 현장이자, 공교육이 외면하고 가정과 사회가 방치해온 ‘인성 교육’의 핵심이다. 70대와 20대 사이에서 수행되는 구술 생애사가 ‘격대(隔代) 교육’의 중심이 될 수 있다.

노인을 스토리텔러로 거듭 나게 하는 사회적 프로그램. 나는 이것이 노인뿐 아니라 청년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실마리라고 생각한다. 지금 우리에게 시급한 것은 ‘관계’다. 노인연금, 학자금 대출보다 관계의 회복이 더 절박하다. 노인만 독거하는 것이 아니다. 청년들도 독거(1인 가구)다. 거의 모두가 독거다.


이문재 | 시인·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