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정태 | 한국냉동공조인증센터 원장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여름의 한낮 온도는 매년 상승되는 추세이다. 더위가 기승을 부리면 사람들은 시원한 장소를 찾게 되고, 냉방용 에너지 소비가 급증한다. 냉방을 위한 에너지 중 가장 많이 소비되는 것이 바로 전기에너지이다. 우리는 지난해 9월 순환정전이라는 전력대란을 처음 경험한 적이 있다.

금융위기와 더불어 세계정세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에너지위기이다. 전 세계 모든 국가들이 에너지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더불어 가장 중요하게 신경을 쓰는 것이 에너지의 절약이다. 그런데 에너지절약은 국가적 캠페인과 같이 누군가 이끌어가는 것이 중요하지만, 국민들의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 개별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

바야흐로 우리는 에너지에 대한 각성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도심의 대형 상점이나, 화장품 가게 등 많은 사람이 드나드는 업종의 가게문은 항상 열려 있는 것을 목격한다. 가게 안은 추울 정도로 낮은 온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에너지를 펑펑 써도 되는 것인가. 에너지 사용에 대한 공동체적인 배려심이 필요하다.

가게 주인들은 내 돈 내고 내가 쓰겠다는 생각을 버리고, 손님들은 문을 여닫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는 공동체적인 이해심을 보여야 한다. 에너지란 저절로 만들어지고 아무렇게나 소비해도 되는 것이 아니라, 아낄수록 누군가에게 필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는 의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정부청사, 에너지절약 캠페인 ㅣ 출처:경향DB

혹자는 전기에너지의 부족이 발전시설의 확충으로 해결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제발전과 문화적인 소비추세를 보면, 생산시설의 확충만으로 에너지를 충당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첫째, 발전시설이 필요하다고 하루아침에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수년 전부터 계획하고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어야 한다. 둘째는 모든 계획은 계획일 뿐이다. 생산시설 등 수급대책을 세운다 해도 변수가 너무 많아 정확한 수요예측은 사실상 어렵다.

반면에 국민 스스로 에너지공동체로서의 배려심 속에서 이루어지는 절약습관은 현재 가동되고 있는 발전소 몇 대 분량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가정에서, 공공장소에서 ‘나부터’ 실천하는 게 중요하다. 나의 작은 실천이 좀 더 요긴한 곳에 에너지를 쓸 수 있게 한다는 에너지공동체 정신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계절이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