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교육부는 지난 2일 초등학교 및 중학교에서도 2018년부터 코딩 교육을 의무화하는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 기본 계획을 확정했다. 앞으로 교육부와 미래부는 정책 실현을 위한 전문 교원 양성과 물적 인프라를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춘 방안을 추진한다고 한다. 긍정적인 발걸음이다. 스마트폰,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클라우드 컴퓨팅 등 시대가 흐르면 흐를수록 사회의 정보기술(IT) 구조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민 전체의 IT에 대한 이해는 정말로 중요하고 앞으로 더 중요해질 것이다. 이번에 정부가 수립한 계획은 당연히 정보 사회에 대한 국민의 이해, 창의성, 나아가 국가 경쟁력을 제고시키려는 목적으로 나왔을 것이다. 다만 여기서 함께 이루어졌으면 하는 부분이 기업가정신의 조기 교육 도입이다.

거의 모든 사람은 어떤 형태로든 기업과 관여된 경제인구가 된다. 기업의 사원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창업을 통해 기업을 직접 만들 수도 있고, 본인의 역량을 가지고 기업과 계약을 맺을 수도 있다. 전통적으로 일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기계적 효율성이었다. 하지만 현대 사회는 달라졌다. 다양해졌고, 무언가를 선도하느냐가 중요해졌다. 다원화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별로 경제 사회에서 부여된 임무를 맞춤형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그리고 선도 사회에서는 ‘새로운 것’을 만들 수 있는 혁신이 가장 중요해졌다. 페이스북, 우버, 샤오미 등 규모에 구애받지 않는 혁신적인 ‘스타트업 시대’가 괜히 온 것이 아니다.

기업가정신은 사전적인 정의로는 기업의 본질인 이윤 추구와 사회적 책임 수행을 위해 갖춰야 할 자세 전반을 말한다. 미국의 경제학자 슘페터가 강조한 좀 더 실질적인 의미로는 미래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장래를 정확히 예측하고 변화를 모색하는 방법, 그 철학을 말한다.

추상적으로 들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것은 오히려 국가가 추진하는 모든 ‘창조적 교육’의 실질적인 효과를 올릴 수 있는 방법이다. 주변을 둘러보면 세대를 막론하고 자신이 어디에 서 있는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고, 알고자 하지 않는 사람들이 놀라울 정도로 많다. 이는 획일화된 교육 속에 묻혀 있는 초·중·고교 학생들만의 문제도 아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공을 택하고 파악하고 수련하는 과정에 있는 대학생들마저 10명 중 7명이 자신의 적성에 대해 알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답하고 있다. 이러한 인력풀에서 어디까지나 도구적인 측면으로 존재하는 소프트웨어 교육 의무화 등의 정책들은 실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사회 교육에서는 시민의 정치 참여가 민주주의의 전제라고 가르친다. 그리고 실제로 국가의 많은 구성원이 정치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질 때, 사회가 국민을 행복하게 하는 방향으로 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국민이 기업과 그 철학에 대해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주는 교육은 국민이 행복하기 위한 경제 구조의 기반을 만들어 줄 것이다.

김탁훈 |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학생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