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가진 게 많지 않다.” 가진 게 충분치 않다는 얘기다. ‘-지 않다’는 앞말이 의미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이다. 이게 ‘-지 않다’의 자연스러운 쓰임새이고 본뜻이다. 한데 요즘 ‘-지 않다’가 글말과 입말에선 달리 쓰이기도 한다.

“이건 너무 많지 않아?” 많다는 뜻이다. 의문형으로 바꾸었을 뿐인데 반대 의미가 되었다. 의문형으로 끝난 ‘-지 않다’에선 부정의 뜻을 찾기 힘들다. 단순히 ‘많다’를 강조하는 역할만 한다. ‘않다’의 본래 뜻을 잃어버린 것이다.

“너무 많잖아.” 이 또한 많다는 소리다. ‘많지 않아’가 줄어든 말이 ‘많잖아’다. ‘많다’의 어간에 ‘-지 않아’가 결합한 말이지만 부정의 뜻은 없다. 이는 ‘-지 않아’가 줄어든 표현인 ‘-잖아’로 굳어져 쓰이면서 새로운 뜻을 얻었기 때문이다. ‘귀찮잖아’ ‘예쁘잖아’ ‘힘들잖아’ ‘이야기했잖아’에서 보듯 ‘-잖아’로 굳어진 표현이 널리 쓰인다. 이 ‘-잖아’는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자신의 말이 맞지 않느냐고 상기시키면서 핀잔하듯이 말함을 나타내는 관용구처럼 쓰인다. 일부에선 부정의 ‘-지 않다’의 축약형과 구분해 ‘구어 종결어미 -잖아’로 부른다.

“사람이 많지 않아 좋다.” 종결형과 달리 연결형일 때는 ‘-지 않다’의 본뜻으로 읽힌다. 이땐 ‘많잖아’로 거의 줄여 쓰지 않는다.

김선경 기자 sunkim@kyunghyang.com

'=====지난 칼럼===== > 알고 쓰는 말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쁜 와중에  (0) 2016.10.21
겻불과 곁불  (0) 2016.10.14
조바심  (0) 2016.10.04
똘기  (0) 2016.09.23
책갈피와 보람  (0) 2016.09.09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