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손바닥만 한 화면에 코를 박은 채 히죽거리기를 얼마나 했을까. 정신을 문득 차려보니 30대 중반쯤으로 보이는 여성이 나를 흘끔거리며 쳐다본다. 민망함을 수습해볼 요량으로 쓸데없는 말을 건넸다. “<더 케이투>(배우 지창욱이 최근 출연한 드라마) 보세요?” 말 떨어지기 무섭게 그는 반색하며 손을 모아 쥐었다. “대~박이죠. <힐러>도 보셨어요?” 안 그래도 지창욱에 ‘꽂혀’ 그의 전작을 밤마다 몰아 보고 있던 터라 고개를 끄덕이며 맞장구를 쳤다. 몇십분 전만 해도 “약속은 하고 오신 거냐”며 심드렁하게 묻던 사람이 맞나 싶을 정도로 그의 목소리는 곰살맞게 변해 있었다. 심지어 서랍을 열고는 초코바까지 내놓았다. 취재원의 사무실에 일찍 도착하는 바람에 애매하고 어색하던 상황은 순식간에 십년지기의 만남처럼 화기애애해졌다.

드라마 하나로 생면부지의 남들과 대동단결했던 경험은 꽤 여러 번 있다. 올 초 <태양의 후예>가 방송됐을 때도 그랬다. 찜질방 TV 앞에 제각기 눕거나 퍼질러 앉았던, 일면식도 없던 ‘우리들’은 유시진이라는 이름 아래 맥반석 달걀을 나눠 먹으며 든든한 유대감을 다졌다.

‘할 일 없고 한심한 아줌마들이나 즐기는 하위 문화’라며 드라마를 조롱의 대상으로 삼는 사람들도 있다. 판단이야 자유지만 드라마의 미덕을 폄훼하진 말자. 당대의 욕망과 무의식을 반영하는 드라마를 통해 우린 시대정신을 들여다볼 수 있다. 드라마는 공동체를 하나로 묶어주기도 한다. 대사 한마디가 영혼을 뒤흔들어 놓으며 인생의 큰 가르침으로 다가올 때도 있다. 이 때문에 유명 인사나 스타가 나와 같은 드라마를 즐긴다면 괜히 친근하고 정겹게 느껴진다. 히잡을 쓰고 만면에 웃음 띤 얼굴로 누군가에게 “<태양의 후예>도 보셨느냐”고 묻던 박근혜 대통령의 그 벅찬 심정. 안다. 나도 무수히 느껴봤으니까.

[김용민의 그림마당]2016년 11월17일 (출처: 경향신문DB)

드라마에 빠지고 즐기는 것은 보편적인 정서에 공감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희한하다. 드라마를 그렇게 사랑하는 대통령이라면 공감능력이 정상 수준은 될 법한데 공감은 고사하고 일상적 의사소통도 안된다. 100만명 넘는 국민이 매주 청와대 코앞에서 대놓고 외치는 소리가 ‘외계어’(알아듣기 어려운 신조어)로 들리는 게 분명하다. ‘길라임’이고 싶었으나 실상은 ‘별에서 온 그대’인 건가. 국민들의 말이 ‘외계어’로 들린다면 오랫동안 사랑했던 드라마 주인공들의 말이라도 귀 기울여 들어보시라.

먼저 유시진 대위다. “그럼 하나만 물어봅시다. 혹시 이게 마지막일지 몰라서…. 뭘 할래요? 당장? 하야할래요? 고백할래요?” 매주 광화문광장에 나서는 ‘오해영’도 외친다. “대통령이 꼼수 부리니 좋은 거 하나 있네. 광화문에 계속 나오고 싶어진다는 거. 일찍 일찍 좀 하야해라. 사과는 바라지도 않는다. 나 뚜껑 열린다. 진짜.” 함께 나온 길라임의 남자 ‘김주원’도 경고한다. “내가 이 밤중에 여기 왜 이러고 있겠냐. 알고 싶어 온 거잖아. 그러니까 네 말만 하지 말고 대답 좀 해라. 7시간 동안 뭘 했는지. 경고하는데 다시는 딴 놈 핑계 대며 피해자 코스프레 하지 마. 내려놓는 척하며 말장난도 하지 말고. 두 번 다시 그런 담화문 갖고 나 찾아오지 마.”

형편없는 새누리당을 향한 천송이의 일침이다. “이번에 나라꼴이 바닥을 치면서 기분 참 더러웠는데 한 가지 좋은 점이 있어. 사람이 딱 걸러져. 진짜 국민 편과 국민 편을 가장한 ‘척’. 진짜와 가짜를 걸러내라는 하느님이 주신 큰 기회가 아닌가 싶다.” 박 대통령이 대선후보 시절 즐겨 봤다는 <베토벤 바이러스>의 주인공 ‘강마에’도 엄청 화가 났다.

“당신 같은 사람들을 세상에서 뭐라 그러는 줄 알아요? 구제불능, 민폐, 걸림돌. 많은 이름들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이렇게 불러주고 싶어요. 똥! 덩. 어. 리.”

문화부 박경은 기자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