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권위 있는 연구자에 따르면 김수영 시인은 자유가 아니라 꽃의 시인이라고 해야 마땅하다고 한다. 시인이 남긴 작품을 조사해 보면 꽃이란 시어를 무려 127회나 부렸다는 것. ‘꽃’ 하나로 ‘꽃의 시인’의 지위를 누렸던 김춘수 시인이 듣는다면 뭐라고 하실까. 이제 시의 업(業)에서 홀가분하게 벗어나 고인(故人)의 반열에 드신 분들이니 그게 무슨 대수랴 싶기도 하다.

꽃이 홀연 자취를 감춘 계절. 가로수 줄기 끝에선 꽃잎 대신 매미소리가 펄, 펄, 펄 떨어져 내린다. 시인들은 이 수상한 시절을 어찌 견디고 있을까 궁금해졌다. 여름에 발표하는 시를 살피면 그 속내의 한 자락이라도 혹 알 수 있지 않을까. 종로도서관에서 계간지를 일별해 보았다. 내 수준을 함부로 벗어날 순 없고 그저 작품 속의 구체적인 나무나 꽃을 조사했다.

<논어>를 보면 공자는 제자들에게 <시경>을 읽으라고 한다. 조수초목지명(鳥獸草木之名), 즉 새와 동물, 나무와 풀의 이름을 많이 알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우리 시인들도 그런 영향을 암암리에 받은 것일까. 골짜기를 헤매듯 잡지를 뒤적이자 의외로 많은 동식물이 등장하였다. 그렇게 시의 생태계를 살피는데 문득 드는 생각. 나무 하나 들먹이지 않고 시를 생산하기가 힘들 듯 욕 한마디 없이 이 시절을 건너기도 참 어렵겠군. 그런 참인데 어느 페이지를 넘기자 내 마음을 딱 헤아리기라도 했다는 듯 이런 동시 한 구절이 있지 않겠는가. “아아아아아아아/ 시이이이이이이/ 가안시인배애가트은/ 어얼빠아지인노옴가트니이”(서정홍, 욕 공책)

4종의 계간지에서 확인한 것은 총 31그루. 반갑게 해당화도 있었다. 원예종을 제외하고 거의 알겠는데 모르는 나무가 하나 있었다. 왕동백나무였다. 시에 따르면 지옥에서 피는 나무라 했다. 내 근처에도 살 법했건만 도감을 보니 이승에는 없는 나무였다. 어쩌나. 시인들의 시상에 큰 도움을 준, 한겨울에 피었다가 ‘눈물처럼 후두둑 지는’ 동백나무를 여기에 심어 갈음하기로 한다. 차나무과의 상록 교목.


이갑수 | 궁리출판 대표

'=====지난 칼럼===== > 이굴기의 꽃산 꽃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탱자나무  (0) 2014.08.18
정금나무  (0) 2014.08.11
해당화  (0) 2014.07.28
산딸기  (0) 2014.07.21
꼬리진달래  (0) 2014.07.14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