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새누리당 ‘돈 공천’ 파문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 현영희 의원이 현기환 전 의원 외에 박근혜 의원의 최측근인 이정현 최고위원과 현경대 전 의원에게 차명으로 정치후원금을 제공하고, 4·11 총선 당시 ‘박근혜 키드’로 불린 손수조 후보에게도 현금을 지원한 사실이 드러났다. 여기에다 또 다른 비례대표 의원의 공천 헌금설이 나도는 등 직간접적으로 연루된 ‘친박근혜(친박)’ 인사들의 규모가 두 자릿수를 넘을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이번 사안은 연루자들이 수사 대상이냐, 아니냐가 핵심은 아니다. 정치후원금은 영수증 처리를 하고 선관위에 신고했다면 법적으론 하자가 없다. 반대로 135만원에 불과하지만 자원봉사자에게 지급된 실비 등의 명목으로 손수조 후보에게 전해진 돈은 불법의 여지가 크다. 그런 유무죄는 검찰 수사로 가리면 될 일이다. 문제는 명색이 비례대표를 꿈꾸는 인사가 금품을 살포하는 관행이 근절되지 않는 현실이다. 연루자들이 친박 인사들이라는 점에서 심각성은 더하다. 돈과 권력의 공생, 즉 도덕적 불감증을 고발하는 삽화이기 때문이다. 유력한 대선주자의 주변이 이 정도라면 집권했을 경우 어떤 일이 벌어질지 예상해보는 건 쉬운 일이다. 이명박 대통령 재임 중 친형이 구속되는 미증유의 사태를 목도한 마당이 아닌가.
검찰이 파악 중인 새누리당 현영희 의원 불법자금 현황 (경향신문DB)
친박 인사들만 사태의 심각성을 낮잡아보는 것 같다. 역시 박 의원의 최측근인 김재원 의원은 어제 방송에 출연해 “현재 대선구도에서 책임론을 전방위로 얘기하는 것은 정권을 송두리째 민주통합당에 갖다 주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박 의원이 추천한 당 진상조사위원회의 위원이고, 어제는 바로 위원회가 조사에 착수한 날이다. 성역없는 진상규명과 연루자 처벌을 다짐해도 시원찮을 판에 내로라하는 친박 인사가 책임문제에 먼저 선을 긋고 나선다면 조사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
이번 파문이 터져나온 이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박 의원의 지지율이 소폭 하락하는 등 국민들은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것이 민심이다. 박 의원 측이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한 점 의혹없는 진상조사를 벌여야 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연루가 드러나거나 의혹 대상으로 거론되는 인사들을 박 의원 주변에서 철저하게 걸러내야 한다. 이와 별도로 박 의원이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새누리당으로선 ‘돈 공천’에 대한 단호한 대처만이 박 의원과 당의 수권능력을 보여주는 전화위복의 계기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부터 되새기길 바란다.
'정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민주당, 지금의 대오로 대선 치를 수 있겠나 (0) | 2012.08.12 |
---|---|
[사설]이명박 대통령의 느닷없는 독도 방문 (0) | 2012.08.10 |
[사설]박근혜 의원에게 ‘과거’를 묻는 이유 (2) | 2012.08.09 |
[사설]‘용역깡패 천국’의 적나라한 모습과 국가의 책무 (0) | 2012.08.09 |
[사설]이종걸 의원, ‘그년’ 발언 즉각 사과해야 (1) | 2012.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