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박근혜 새누리당 의원이 5·16은 쿠데타가 아니며, 나라 전체가 공산화될 수 있는 위기에서 나온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그제 열린 새누리당 대선 경선후보 토론회에서 그는 ‘5·16을 쿠데타로 인정하느냐’는 질문에 “아뇨. 그것은 (국민과 역사의 평가에) 맡겨야 한다”며 “국민들이 거의 굶주리고, 나라가 이대로 놔두면 공산화될 수도 있고,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이 없어질 수도 있어서 불가피한 선택을 한 것”이라고 했다. 전날 박 의원은 5·16을 두고 “정상적인 것은 아니지 않으냐”고 말해 입장 변화가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하지만 이튿날 5·16의 ‘쿠데타성’을 부정함으로써 “구국의 혁명”(2007년 한나라당 경선) “불가피한 최선의 선택”(7월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토론회) 등의 기존 시각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음을 드러냈다.


박근혜 후보 (경향신문DB)


박 의원은 다른 경선후보들이 5·16 문제를 끈질기게 묻자 “계속 몇십 년 전 얘기만 하고 있다. 현재가 없다” “모두 과거에 산다” 같은 반응을 보였다. 그는 이전에도 “정치인이 미래는 내버려두고 역사학자나 국민이 평가할 것을 두고 논쟁해야 되겠느냐”고 말한 일이 있다. 역사관에 대한 질문을 과거에 집착하고 미래를 외면하는 퇴영적 행태로 본 것이다. 이는 단견이요, 오해이다. 박 의원에게 과거에 대한 평가, 역사에 대한 인식을 묻는 것은 그와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을 연좌제 식으로 묶어 공격하기 위한 게 아니다. 그가 집권할 경우 만들어낼 ‘미래’를 알고자 함이다. 한 인간이 과거를 어떻게 평가하는지는 현재를 규정하며, 나아가 미래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유력 대선주자인 박 의원의 과거 평가와 역사 인식은 철저히 검증해야 마땅하다.


우리는 박 의원의 5·16 인식이 빈곤한 역사관의 반영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박 의원이 진정으로 국가지도자가 되고자 한다면 역사 앞에 겸허해져야 한다. 대통령이 되겠다는 이가 누군가의 딸이라는 틀에 갇혀 역사적 사실까지 부정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헌법 전문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함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4·19 혁명의 성과를 쿠데타로 뒤엎고 집권한 박정희 정권은 1962년 개정헌법 전문에 ‘5·16혁명의 이념에 입각하여’라는 표현을 넣었으나, 이는 1980년 개헌 당시 삭제되면서 영원히 자취를 감췄다. 5·16에 대한 역사적, 헌법적 평가는 이미 끝났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