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모두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은 우리 사회 전반의 적폐를 청산하는 출발점이라고 말한다. 촛불민심은 단순히 대통령 퇴진을 넘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상징되는 구체제 청산을 요구하고 있다는 데 이론이 없다. 문제는 실천이다. 박 대통령 탄핵안이 가결된 지 한 달이 다 돼 가지만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국정농단을 방임한 권력, 재벌과 권력의 야합, 정치검찰, 권력에 굴종하는                                                                                                                                                                                                                                                                                                                                                                                                                                                                                                                                                                                                                                                                                                                                                                                                                                                                                                                                                                                                                                                                                                                                                                                                                                                                                                                    언론 등 적폐의 몸통은 그대로다. 촛불민심이 탄핵을 이뤄냈다면 촛불에 담긴 시민의 갈망을 법적·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은 전적으로 국회와 정치의 책임이다. 대통령이 직무정지 상태고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불신받는 상황에선 국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   

지금은 대한민국이 재도약의 전기를 마련하고 미래로 가기 위한 대변혁의 기회다. 그러나 국정농단 사태를 초래한 정치·재벌·검찰·언론 등에 대한 총체적이고 철저한 개혁 없이는 한 걸음도 앞으로 나갈 수 없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으로 상징되는 구체제 해체에 앞장서야 한다. 과거 이들이 막았던 개혁 입법을 신당이 야당과 협력해 빨리 통과시켜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회에서 잠자고 있는 경제민주화 법안들과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 18세 투표연령 하향 등을 제시했다. 맞는 말이다. 현재 국회 의석은 야당 의원(172명)에 개혁보수신당(30여명)을 합하면 200명 이상이다. 재적 3분의 2를 넘는 숫자다. 어느 때보다 개혁 입법을 성사시킬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조성된 셈이다.

보수신당의 리더 격인 유승민 의원은 새누리당 원내대표 시절인 2015년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부자·대기업 증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강화 등 당시로선 파격적인 정책을 제안해 박수를 받은 바 있다. 양극화·저출산·청년실업·가계부채 등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야당과 ‘합의의 정치’를 하겠다고도 했다. 그의 바람은 새누리당 내 반발에 부딪혀 실현되지 못했지만 지금은 다르다. 야당과 뜻을 모으면 구체제 청산과 각종 개혁 입법은 얼마든지 현실화할 수 있다. 보수신당이 내세우는 신보수에 대한 의구심을 씻기 위해서라도 그래야 한다.

시민 여론을 수렴하고, 치열하게 토론하고, 각 당이 중지를 모으면 새해 2월 임시국회에선 충분히 통과 가능하다. 시기적으로도 차기 대선 레이스가 본격화하기 전이 특정 정당·정파의 유불리를 떠나 시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개혁 청사진을 만드는 데 용이한 면도 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결정이 나올 때까지 마냥 허송세월할 수는 없다. 지금이야말로 구악을 청산하고 국가 미래를 새롭게 설계할 적기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