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중동호흡기증후 군(메르스)의 지역사회 전파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메르스 환자로 드러난 경찰의 병원 내 감염 정황이 희박해지면서다. 지역사회 전파는 불특정 다수에 의한 불특정 다수의 감염 가능성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지금까지의 병원 내 감염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대처가 요구된다. 정부는 모든 역량을 가동해 최대한 빨리 감염 경로를 파악하기 바란다.

정부는 애초 경찰 환자가 경기 평택박애병원 응급실에 들른 ‘52번 환자’에게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병원 측은 확진환자보다 경찰관이 먼저 병원 응급실에 다녀가 둘이 마주치지 않았다며 병원 내 감염 가능성을 부인했다. 이 말이 맞다면 경찰은 병원 내 감염이 아니라 지역사회 등 병원 밖에서 감염됐을 여지가 커진다.

광고

그럼에도 정부는 앞뒤가 맞지 않는 가설을 고집하고 있다.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을 배제한 채 “52번 환자로부터 감염 가능성이 있다”고 공식 표명한 것이다. 감염병을 잡으려면 모든 상황을 상정하고 대비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넓은 ‘방역그물’을 쳐야 하는 것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지만 당초 예상을 넘어서는 정황이 나오는데도 억지를 부려서는 안된다. 정부가 폐렴환자 전수조사를 하면서 조사가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모든 병실이 메르스로부터 안전하다”고 선언한 것도 문제다.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게 당연하다.

송재훈 삼성서울병원장이 14일 응급실·외래 업무 등을 24일까지 부분적으로 폐쇄한다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송 원장은 “국민 여러분께 큰 심려를 끼쳐드려 머리 숙여 사죄 드린다”며 “삼성서울병원 본원에서 감염된 모든 메르스 환자의 진료를 끝까지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출처 : 경향DB)



보건당국은 어제 메르스 확진환자 증가세가 둔화하고 격리자가 처음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공식 방역망 밖 지역사회 전파 우려가 제기되는 점을 감안하면 절대 안심할 상황이 아니다. 감염병 재난 극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일희일비하지 않아야 한다. 경찰 환자 외에 삼성서울병원 외래진료를 받은 확진환자의 감염 경로가 아직 규명되지 않았고, 경기 성남에서는 여자 초등생 양성반응자가 나왔다. 확진되면 ‘첫 10세 미만 환자’ 사례가 된다. 경북의 교사 환자는 메르스 증상이 나타난 뒤에도 학생들을 가르치고 의원 여러 곳을 찾아간 것으로 드러나 추가 감염자 양산 우려를 낳고 있다. 메르스 사태에 책임져야 할 인사들의 부적절한 언행이 잇따르는 것도 답답한 일이다. “이번 사태는 2009년 신종플루보다 작은 일”(국민안전처 이성호 차관), “삼성이 아니라 정부가 뚫렸다”(삼성서울병원 간부)는 국회 답변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