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재인 민주통합당,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가 어제 양 캠프에 경제복지정책팀과 통일외교안보정책팀, 단일화방식 협의팀 등 3개 팀을 구성키로 합의했다. 현재 운영 중인 새정치 공동선언 실무팀 외에 3개의 협상팀을 추가로 가동하는 것이다. 단일화가 정치 쇄신 차원을 넘어 가치와 정책 연대의 장으로 확장되는 국면이다. 양측이 새정치 공동선언문을 발표한 뒤 본격적 협상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과 달리 단일화 논의의 호흡도 빨라지고 있다.


그간 진행돼온 양측 협상은 새정치 공동선언을 비롯해 정치 쇄신에 국한된 느낌이 없지 않았다. 단일화 논의가 정치뿐만 아니라 노동과 복지, 경제 등 각종 정책 경쟁으로 범위를 넓혀야 한다는 지적을 받아온 이유다. 민주당은 지난 4·11 총선 때도 통합진보당과 야권연대를 하면서 경제민주화와 보편적 복지 실현 등을 포함한 범야권 공동정책에 합의한 바 있다. 따라서 정책팀 가동은 정치 쇄신 논의가 사실상 합의점에 이르렀고, 다음 단계인 정책 논의로 접어들고 있다는 의미를 갖는다. 정치 쇄신을 바탕으로 해서 가치와 철학을 공통분모로 하는 정책 연대 논의가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는 얘기다.


협상시작한 야권 단일화 (출처: 경향DB)


합의에 이르는 방식도 주목된다. 두 후보는 이날 정책 발표를 하면서 각각 공동 정책연대와 경제·외교안보팀을 구성하자는 안을 내놨고, 얼마 후 전화통화로 3개 팀 구성에 합의했다. 두 후보가 직접 만나 ‘후보 등록 전 단일화’를 비롯해 7개 항의 공동합의문을 발표할 당시를 연상시킨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협상이 교착에 빠졌을 때 후보들 간 ‘통큰 결단’이 나올 수도 있다는 기대까지 내비치는 모양이다. 안 후보가 적극성을 띠기 시작한 것도 흥미롭다. 협상을 서두르고자 했던 문 후보와 달리 안 후보 측은 미루려 했던 게 사실이다. 후발 주자인 안 후보 측으로서는 자신의 경쟁력을 홍보하는 시간이 필요한 측면이 있었겠지만 경선을 선호하는 문 후보와 달리 막판 여론조사를 염두에 둔 전략상의 차이도 있었다. 그런 맥락에서 안 후보의 태도 변화는 단일화 논의의 틀을 견고하게 한 것은 물론이고, 논의의 투명성도 높여놨다. 양측의 단일화 논의에 민주적 소통 방식이 자리할 여지가 그만큼 커졌다고 본다.


야권 후보 단일화는 성공할 수도 있고, 실패할 수도 있다. 단일화 성사라는 외형적 틀도 중요하지만 실질적 성패를 가르는 요소는 어떤 단일화인가라는 내용의 문제로 귀착된다. 1997년 DJP연대나 2002년 노무현·정몽준 단일화는 성공한 연대나 단일화 사례에 들지 않는다. 과정이 불투명하거나 공유하는 가치가 없어 권력 나눠먹기라는 비판을 자초한 탓이다. 이번 단일화는 그 틀을 넘어야 한다. 두 후보가 민주적 소통을 통해 단일화를 성사시키고 유권자들의 선택을 받도록 하는 방식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내용뿐만 아니라 진행 과정 또한 새정치로 채울 일이다. 그것이 감동을 주는 단일화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