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청와대에서 여야 4당 대표와 2시간 가까이 오찬을 함께하며 국정 현안을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5당 체제와 여소야대 상황에서 정국운영에 어려움이 아주 많다. 그럴수록 국민이 바라는 정치를 한다면 좀 더 공감대가 많아지고 협치도 수월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5대 인사원칙을 어긴 데 유감을 표하고, 반부패협의회는 제도개선이 목적일 뿐 정치적 악용은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했다. 탈원전 정책은 공론조사라는 민주적 절차를 따르겠다고도 했다. 야당 대표들도 “오늘 자리가 협치, 생산적 정치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화답했다.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동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다. 역시 이런 자리는 자주 열릴수록 좋다.

문재인 대통령이 정상외교 성과 설명을 위해 여야 당 대표를 초청한 19일 청와대 상춘재 앞에서 차담회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주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문 대통령, 이혜훈 바른정당 대표, 이정미 정의당 대표. 이날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불참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 대통령은 여러 차례 협치를 강조했지만 출범 두 달 현재 성적표는 초라하다. 지난 두 달간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법안은 단 한 건뿐이다. 국정기획자문위는 이날 100대 국정과제를 발표하며 제·개정이 필요한 법령 647건 중 법률의 92%를 내년까지 국회에 제출하겠다고 했다. 이 역시 야당의 협력 없이는 불가능하다. 문재인 정부 성공의 열쇠는 여야 협치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당제 체제에선 대화와 타협이 더욱 절실하다. 대통령 지지도가 80%가 넘는다고 독주하는 것은 금물이다.

여야가 정부조직법을 물관리 일원화 부문을 보류하고 오늘 국회에서 처리하기로 잠정합의한 것은 다행이다. 하지만 추가경정예산안은 여전히 벽에 부닥쳐 있다. 협치는 말로만 하는 것이 아니다. 국정 책임은 대통령에게 있다. 잘잘못을 따지기 전에 대통령이 먼저 손을 내밀어야 한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