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6·4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진 17개 시·도 교육감 선거에서 진보 성향의 후보가 13곳에서 당선되는 압승을 거둔 것을 놓고 여권과 일부 언론, 단체 등 보수진영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부정적으로 반응하고 있다. 진보 교육감의 대거 당선이 보수 후보의 난립과 단일화 실패 때문이라며 그 의미를 깎아내리는가 하면 진보 교육감이 이념 성향이 다른 광역단체장이나 중앙정부의 교육정책과 충돌하면서 교육현장이 대혼란에 빠질 것이라는 흉흉한 예단까지 펴고 있다. 진보 교육감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출신이거나 친(親)전교조 성향이라는 점을 들어 교육현장이 이념화할 것이라는 ‘색깔론’도 확산시키고 있다. 심지어 교육감 직선제 무용론·폐지론까지 들고나오는 실정이다.
선거 민심을 폄훼·왜곡하는 이런 주장과 태도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보수 후보의 난립이 진보 후보에게 반사이익을 안겨준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결정적인 이유가 될 수는 없다. 그것만으로는 2010년 선거에서 6명에 불과했던 진보 교육감 당선자가 이번에 그 두 배가 넘는 13명으로 불어난 것을 전부 설명할 수는 없다. 세월호 참사를 지켜보면서 아이들의 안전이나 행복을 외면한 현행 경쟁 위주 교육의 근본적 변화 필요성을 절감한 이른바 ‘앵그리맘’의 표심이 결집된 결과로 봐야 한다. 그간의 교육 실패를 반성하고 교육의 새로운 가치와 방향을 모색하라는 게 보수 교육 진영의 참패로 나타난 이번 선거의 민심이라는 얘기다.
김석준 부산시교육감 당선자가 5일 부산대 제1사범관 306호 강의실에서 사범대학 일반사회교육과 1학년생을 대상으로 사회학을 강의하면서 지구온난화에 관해 얘기를 나누고 있다. 부산 _ 백승목 기자
교육의 기본 가치는 보수·진보라고 해서 다를 게 없다. 경쟁이 아니라 협력, 탐욕이 아니라 생명·평화·인권 등 본질적 가치가 교육의 바탕이 돼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 점에서 공교육 정상화와 입시 고통 해소, 학생 안전과 건강권 보장, 교육비리 척결, 교육환경 개선 등 진보 교육감들의 공통 공약은 정부와 보수 교육감들도 외면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번 선거 결과는 정부의 교육정책 실패와도 무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율형사립고 재지정, 한국사 국정화, 교사 시간선택제, 세월호 참사 시국선언 교사 징계, 전교조 법외노조화 등 진보 교육감과 갈등이 예상되는 교육정책에 대해서도 새롭게 접근하라는 요구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진보 교육감들도 완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아무리 좋은 제도나 정책도 시행 과정에서 갈등을 빚거나 급작스러운 변화로 현장에 혼란을 준다면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보수냐 진보냐에 따라 교육 기조나 정책이 널뛰듯 왔다갔다 하는 것도 곤란하다. 중앙정부와 소통·협력하는 노력과 더불어 보수 교육감 시절의 정책이라도 좋은 것은 계승·발전시키는 자세가 필요하다.
'주제별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향의 눈]제2의 고교평준화시대 (0) | 2014.06.23 |
---|---|
[사설]탁상행정으로 흐르는 단원고 후속조치 (0) | 2014.06.18 |
[기자 칼럼]유치원, 그리고 소셜 믹스 (0) | 2013.12.11 |
[녹색세상]내가 나를 쓰는 시간 (0) | 2013.06.20 |
[여적]훈계와 폭행 사이 (1) | 201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