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명박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이 영어(囹圄)의 몸이 됐다. 현직 대통령의 친형이 구속된 것은 헌정 사상 처음이라고 한다. 이 전 의원은 2007년 대선을 앞두고 임석 솔로몬저축은행 회장과 김찬경 미래저축은행 회장에게서 6억여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이 전 의원이 과거 사장을 지낸 코오롱그룹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 1억5000만원을 챙긴 혐의도 구속영장 청구서에 포함시켰다.
저축은행 피해자들로부터 멱살 잡히는 이상득 전의원 (경향신문DB)
구속되기 전 영장실질심사를 받기 위해 법원에 들어서던 이 전 의원은 저축은행 피해자들에게 넥타이를 잡히고 계란 세례를 받았다. 그는 “(법원이) 어떻게 저런 사람들을 통제하지 못했느냐”며 불쾌감을 표시했다고 한다. ‘저런 사람들’이란 누구인가. 채소 팔고 생선 팔아 어렵게 모은 돈을 저축은행에 맡겼다가 날리고는 한푼이라도 건지겠다며 울부짖는 서민들 아닌가. 백번 천번 사죄해도 모자랄 터에 ‘저런 사람들’이라 깎아내린 이 전 의원의 오만과 특권의식이야말로 오늘날 그가 차가운 감방에 갇히게 된 까닭일 것이다. 정권 출범 초부터 ‘영일대군’ ‘만사형통(萬事兄通)’ 으로 불리며 권력을 농단해온 이 전 의원의 추락은 ‘절대 권력은 절대 부패한다’는 격언을 다시 한번 입증하고 있다.
이 전 의원의 구속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검찰의 최우선 과제는 그가 챙긴 돈의 사용처를 밝혀내는 일이다. 대선 직전 받은 돈을 어디에 썼을 것인지 예상하기는 사실 어렵지 않다. 검찰 관계자는 “대선자금이 나온다고 덮을 생각은 없다. 단서와 증거가 있으면 수사한다”고 말했다. 검찰의 다짐은 허언(虛言)으로 귀결된 적이 대부분이지만, 이번에는 그렇지 않기를 기대한다. 삼척동자도 짐작할 만한 사안을 어물쩍 넘어가려 했다가는 후폭풍을 피하기 어려울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이 대통령은 어제 외부 일정을 취소한 채 온종일 청와대에 머물렀다고 한다. 형의 구속에 충격을 받은 탓일 터이다. 하지만 지금은 칩거할 때가 아니라 국민 앞에 고개 숙일 때이다. 법원이 “거액의 불법 정치자금을 받았다는 혐의가 소명됐다”고 판단했는데도 사과를 미룬다면 분노로 들끓는 민심에 기름을 끼얹는 격이 될 것이다.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과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에 이어 이 전 의원까지 수인(囚人)으로 전락하면서 ‘도덕적으로 완벽하다’고 자처하던 이명박 정권은 회생불능의 파탄을 맞게 됐다. 이 대통령이 할 수 있는 일은 이 사실을 받아들이고 진심으로 용서를 비는 것뿐이다.
'정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현병철 인권위원장, 스스로 부끄러운 줄 알아야 (0) | 2012.07.12 |
---|---|
[사설]정두언 체포동의안 부결은 ‘예고된 참사’다 (0) | 2012.07.11 |
[사설]정수장학회와 박근혜의 ‘법치국가론’ (0) | 2012.07.11 |
[기고]안철수 ‘제3의 정치공간’ (0) | 2012.07.11 |
[기자 칼럼]당신은 ‘책임있는 총리’입니다 (0) | 201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