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0일과 31일 열린 국회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는 ‘네이버 국감’이라고 할 정도로 네이버에 집중됐다. 국감에 삼성과 엘지 등 대기업 관계자들이 증인으로 나섰으나 질의는 네이버에 쏠렸다. 네이버가 준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될 정도로 커진 데다 뉴스조작 사건, 우월적 지위 남용, 골목상권 침해 등 현안이 적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특히 ‘은둔의 경영자’로 알려진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전 이사회의장(현 글로벌투자책임자)이 출석함에 따라 관심이 집중되기도 했다.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 투자책임자가 31일 오후 국회 정무위원회 종합 감사에서 증언대에 서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런데 막상 국감 증언대에 선 이 창업자의 답변은 시민들의 기대에 크게 못 미쳤다. 극명하게 드러낸 것은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청탁을 받고 기사를 빼준 사건에 대한 대책이다. 그는 국감에서 “굉장히 심각한 문제다. 사과드린다”고 말하면서도 “(자신은) 뉴스 부문을 잘 알지 못한다”며 한성숙 네이버 대표에게 책임을 넘겼다. 네이버는 언론사와 제휴를 맺고 뉴스를 편집·게시하는 등 실질적인 언론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 네이버가 공정성, 신뢰성을 훼손했는데도 이 창업자는 어물쩍 넘어간 것이다. 그렇다보니 일부 의원들로부터 “네이버에서 뉴스를 떼어 내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중소상인들의 골목상권 침해에 대한 답변은 더 실망스럽다. 이 창업자는 네이버가 골목상권 업종을 장악해 중소상인을 압박한다고 지적하자 “(네이버는) 사용자 절반 이상이 한 달 광고비가 10만원 이하로 저렴하게 광고할 수 있는 좋은 매체”라고 답했다. 먼저 검색되기 위해 무한경쟁을 벌이는 중소상인에게는 자괴감을 일으키는 말이다. 이런 인식을 갖고 있으니 해법이 나올 리 만무하다. 또한 중소업체의 창업생태계 교란도 지적됐으나 “대책을 강구해보겠다”는 수준에 그쳤다.
네이버는 대형 언론매체이며 다양한 사업군을 가진 대기업이 됐다. 기업의 규모에 따른 책임을 다할 때가 됐다. 이 창업자는 이번 국감을 통해 드러난 문제에 대해 뒤로 물러설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여야 할 것이다.
'일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감]나부터 쓰는 반성문 (0) | 2017.11.01 |
---|---|
[시론]제도를 바꾸기 전 해야 할 일 (0) | 2017.11.01 |
[기고]뜨겁게 몽골을 품자 (0) | 2017.11.01 |
[여적]낙태죄 폐지 (0) | 2017.11.01 |
[정유진의 사이시옷]성폭력의 목격자들 (0) | 2017.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