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더불어민주당이 25일 전당대회를 열어 이해찬 대표체제를 출범시켰다. 이 대표는 다음 총선을 진두지휘하며 2020년 8월까지 대표직을 수행한다. ‘친노 좌장’에 당내 최다선(7선)인 이 대표의 당선은 어느 정도 예상된 결과다. 새 지도부는 다선·초선이 어우러지고 40대가 2명 진입하는 등 신구 조화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홍영표 원내대표에 이어 최고위원 다수가 친문계 인사들로 채워져 앞으로 당 운영이 ‘친문 패권주의’로 흐를 수 있다는 점은 경계해야 할 것이다.  

이 대표는 경선 과정에서 줄곧 ‘강한 여당’ ‘20년 집권론’을 내세웠다. 그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보수 궤멸’을 공개 주장해 야당의 격분을 산 적도 있다. 이 때문에 ‘이해찬’ 하면 대화와 타협보다 독선·독주라는 강성 이미지가 먼저 떠오르는 것이 사실이다. 다행히 이 대표는 취임 일성으로 “국민들을 위한 최고 수준의 협치를 추진하겠다”며 5당 대표 회담을 제안했다. “제일 먼저 민생경제 안정에 집중하겠다”고도 했다. 바람직한 태도다. 집권당 대표는 포용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으로 여야 협치의 하모니를 끌어내는 초당적 리더십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민주당이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승리했다고 해서 여소야대 상황이 변화된 건 아니다. 여당은 문재인 정부 출범 때부터 협치를 펴겠다고 했지만 달라진 건 없다. 당장 민주당 새 체제는 경제·민생 분야에서 야당과 연대·협치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 대표는 여당이 청와대에 끌려만 다녔다는 그간의 지적도 불식시켜야 한다. 이 대표는 경선 내내 “당·정·청 회의만 100번가량 해봤다”며 소통의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교육부 장관, 국무총리, 당 대표를 지내는 등 경륜 면에서 그만한 이를 찾기 힘든 게 사실이다. 막후에서 원로 역할을 해온 그를 당 대표로 불러낸 것도 문재인 정부 2년차를 맞아 평화·민생·개혁입법에 박차를 가해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라는 기대가 반영됐을 것이다.

민주당은 이제 야당이 아니다. 이 대표를 비롯한 새 지도부가 할 일은 상대와 싸우는 강성투쟁이 아니라 서로 토론하고 타협해 국정을 이끌어 가는 것이다. 그러자면 말이 아닌 실천이 중요하다. 이 대표는 “문재인 정부를 지키겠다”고 했다. 지켜야 할 대상은 정부가 아니라 시민이다. 이 대표는 시민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정치를 해주기 바란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