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정 후보자가 국가 문화정책의 수장(首長)으로서 적임자가 아니라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준 자리였다고 본다. 청문회에서는 정 후보자의 음주운전, 아파트 전매금지 위반과 양도세 탈루, 자녀와 부인의 미국 영주권 취득, 공천 대가성 사무실 무상임대 등 갖가지 의혹이 터져 나왔다. 드러난 흠결만 해도 이미 문제가 된 김명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 못지않다. 

그러나 장관 후보자로서 무엇보다 큰 결격사유는 ‘위증’일 것이다. 정 후보자는 서울 강남구 일원동 기자아파트 분양권을 전매해 시세차익을 남겼다는 의혹을 샀다. 하지만 그는 “아파트에 실제로 거주했다. 오래된 일이긴 하지만 정확하게 기억난다” “매입자로부터 돈을 빌리고 전매 금지 기간이 지난 후에 그에게 집을 팔았다”고 그럴듯한 설명까지 덧붙여 의혹을 부인하고 나섰다. 그러다가 매수자의 증언 녹음 공개로 결정타를 맞고 나서야 “(청문회) 방송을 보고 아내에게 전화가 왔는데 부끄럽지만 관행적으로 (전매를) 했다고 한다”고 말을 바꿨다. 이런 뻔한 거짓말은 시정에서도 통하지 않는 실로 한심한 수준이다.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가 10일 국회에 출석하여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답변하며 다양한 표정을 연출하고 있다. (출처 : 경향DB)


이 밖에 새누리당 파주 당원협의회 사무실 격인 ‘희망연구소’의 공천 대가 무상임대 의혹에 대해서는 “보증금과 월세는 현금으로 지불했다”는 말을 반복하면서도 제대로 서류를 제출하지 못했다. 정 후보자가 청문회에서 보여준 모습은 의혹들에 대한 변명과 거짓말, 그리고 사과 발언밖에 없었다.

그런데다 문화계에서는 그가 문화부 장관으로 내정될 때부터 부적절한 인사라는 여론이 팽배했다. 문화정책 실무는 물론 문화예술 현장 등 관련 분야 경험이 전무하기 때문이다. 그는 아리랑TV 사장 재임 4개월이 문화 분야의 거의 유일한 경력이다. 그뿐 아니다. 그는 지난 대선 때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야당 인사 비하와 이념 편향적인 내용의 막말 글을 올린 장본인이다. 게다가 이번 청문회에서 정 후보자의 문화정책 소신과 철학에 대해서는 제대로 검증할 시간조차 없었다. 이처럼 무교양, 부도덕의 반(反)문화만 부각된 정 후보자가 문화부 장관을 어떻게 맡을 수 있겠는가. 

굳이 야당의 요구가 아니라도 정 후보자가 부적격자라는 사실은 명백해졌다. 이제 정 후보자 스스로 사퇴하거나 청와대가 나서 지명을 철회하는 수순을 밟을 때다. 그러지 않고서는 현 정부의 국정기조인 ‘문화융성’도 말짱 도루묵이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