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환경부와 기상청이 한반도 기후변화 연구 동향과 전망을 정리한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4’를 어제 발간했다. 2011년 국립환경과학원이 발간한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0’에 이어 두 번째로 내놓은 한반도 기후변화 관련 연구의 집대성이다. 이 보고서는 세계 기후변화 정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보고서의 방식과 체제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한반도를 대상으로 한 2500여편의 국내외 논문과 보고서의 연구 결과를 분석·평가한 것으로서 ‘한국판 IPCC 보고서’라고 할 만하다.

과학적이고 신뢰할 만한 국내 기후변화 보고서가 나온 것은 고무적인 일이지만 그 내용은 상당히 우울하다. 한반도의 기후변화가 지구 평균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해주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10년간 연평균 기온 상승폭의 경우 1954~1999년에는 0.23도, 1981~2010년에는 0.41도, 2001~2010년에는 0.50도로 갈수록 가팔라지는 추세를 보였다. 해수 온도와 해수면 상승률은 전 지구 평균보다 약 2~3배, 동해에서 표층 이산화탄소 증가도 약 2배 높은 것으로 관측됐다.

‘2014년 기후변화 방재산업전’에서 태양열 집열장치를 이용해 물을 끓여 보이고 있다. (출처 : 경향DB)


기후변화 진행 속도가 빠른 만큼 그 영향도 강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폭염에 의한 사망자가 서울의 경우 현재 인구 10만명당 0.7명에서 20년 후인 2036~2040년 1.5명으로 약 2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혼잡비용이 약 7조2670억원,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부산 지역의 경우 1m 상승으로 3963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추정도 나왔다. 기후변화가 묵시록적 경고가 아니라 바로 과학이자 현실임을 일깨우는 내용들이다.

이번 보고서 발표가 일과성 행사로만 그쳐서는 안 된다.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자료로 적극 활용돼야 한다. 정책 결정자도 관심을 갖고 참고하도록 해야 한다. 기후변화 대책을 위한 국제적 노력이나 행동과 별도로 국내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세워나가는 일도 필요하다. 보고서도 지적하고 있듯이 지역별로 구체화된 기후변화 영향이나 취약성 평가가 이뤄지고 이를 바탕으로 좀 더 정밀하게 정책과 제도를 마련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면 한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