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영화 <마스크>가 있습니다. 소심하고 비루한 주인공이 신기한 가면을 얻어 전혀 다른 자아가 되고 만화적 초능력으로 종횡무진 뜻대로 활개 치는 이야기입니다.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가면’을 뜻하던 ‘페르소나’는 일상에서 상황과 집단에 따라 다른 얼굴을 해야 하는 우리의 사회적 가면들도 뜻합니다. 또한 페르소나는 맡은 역할에 온전히 몰입한 배우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어쩌면 사람들은 지금의 한심한 사회적 얼굴 아래 거칠거나 야한 배역으로 살고픈 욕망도 깊이 숨기고 있을지 모르겠네요. 목욕탕에 불이 나 급히 알몸으로 뛰쳐나와야 할 때 어디를 가려야 될까요? 얼굴입니다. 내가 누군지만 모르게 한다면 알몸과 치부가 드러난들 무슨 상관인가요.

영화 <마스크> 포스터.

인터넷 익명 덕분에 우리는 남녀노소, 사회적 위치를 구애받지 않고 개인 대 개인으로 의사표현과 정보교환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익명에 운명한다’는 요즘 말처럼, 악용된 익명은 누군가를 죽음 같은 구렁텅이로 밀어 넣기도 하죠. 속담에 ‘가면이 천 리’라는 말이 있습니다. 남모르게 하는 짓이면 무슨 짓인들 한다는 뜻이죠. ‘나 누군지 모르지?’ 제 기분 따라 욕설과 모욕의 악플 달고, 불법촬영물과 사실확인 안 된 뉴스를 퍼 나르는 이들은 가면에 몰입해 자신이 힘 있고 중요한 배역인 양 뿌듯해합니다. 간단히 접수된 고소장에 모욕죄·명예훼손죄·영업방해죄·음란물 관련 죄목 등으로 손배소를 당하는 ‘보통 사람들’이 아주 참 많습니다.

자판에는 관재수(官災數), 스마트폰에는 마(魔)가 끼어 있습니다. 손가락질 전에 지금 어떤 심사(心思)의 가면을 쓰고 있는지 잠시 벗어 가만 들여다보세요. 혀뿐 아니라 손가락도 함부로 놀리면 크게 다칩니다. 글 지우고 아이디 삭제해도 경찰 출두서는 날아갑니다. 자신의 사회적 가면을 생각해서라도 그 손가락, 제발 조심합시다.

<김승용 | <우리말 절대지식> 저자>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