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어느 날/ 한 자칭 맑스주의자가/ 새로운 조직 결성에 함께하지 않겠느냐고 찾아왔다/ 얘기 끝에 그가 물었다/ 그런데 송 동지는 어느 대학 출신이오? 웃으며/ 나는 고졸이며, 소년원 출신에/ 노동자 출신이라고 이야기해주었다/ 순간 열정적이던 그의 두 눈동자 위로/ 싸늘하고 비릿한 막 하나가 쳐지는 것을 보았다/ 허둥대며 그가 말했다/ 조국해방전선에 함께하게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하라고.”(‘사소한 물음들에 답함’ 중에서)

송경동의 이 시가 떠오른 건 ‘조국사태’ 때문이다. 이 사태 한가운데 386 권력자들의 위선과 이중성, 학벌주의가 있다. 수년 전 ‘자칭 맑스주의자’가 누구냐는 세속적인 질문을 했을 때 송경동은 웃기만 했다. 최근 부모 병간호로 현장을 잠시 떠난 마당이라 발언을 삼간다는 그가 어렵게 말을 꺼냈다.

“386이나 운동권과 엘리트주의를 비판하려는 시였죠. 자신이 영웅이라고 생각하고, 민중을 대상화하며, 혁명보다는 혁명을 이야기하기 좋아하는 그런 사람들요. 현장에 잘 오지도 않았어요. 자기 실현을 위해 무던히 애쓰던 이들은 모든 걸 권력 중심으로 생각했죠.”

시 다음 구절은 이렇다. ‘미안하지만 난 그 영광과 함께하지 않았다.’ 2001년 등단한 송경동이 낸 시집은 세 권뿐이다. 시인 타이틀을 달고 정작 운동가로 줄곧 살았다. 시를 쓰며 살기 힘든 세상이었다. 집시법 위반 혐의 등으로 줄곧 경찰, 검찰, 법원을 오갔다. 그는 촛불광장에서 여러 활동가들과 노숙하며 촛불 이후 과제를 고민했다.

송경동은 ‘주역’ 같은 말을 싫어한다. 박근혜 정권을 무너뜨린 수많은 시민이나 활동가 중 한 명이라는 평마저 부정하지 않을 것 같다. 정권교체 덕을 본 일이 없다. 두 차례 대선에서 ‘중앙 멘토단’ 같은 현 집권 세력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줄곧 현장을 지켰다. 최근 ‘글빚’을 어떻게 갚을지 고민하며 산다. 여러 출판사에서 선인세를 받아 생활비로 써왔기 때문이다.

그는 ‘촛불항쟁’ 때 ‘박근혜’로 대표되던 특권과 불의와 불공정이 없는 세상, 더 나은 민주주의를 원했다고 한다. 평범한 사람들이 여전히 살기 힘든 걸 보면 기운이 빠진다고 했다. 촛불현장을 끝까지 지킨 이들은 인권과 노동, 평등을 줄곧 외쳤다. 이 문제는 별로 달라진 게 없다. 

톨게이트 노동자들은 대법원 판결에도 제자리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집권세력은 뒤늦게 “역할이 있다면 최선을 다하겠다”는 정도의 발언만 내놨다. 이명박·박근혜 정권 때 한진중공업 희망버스나 쌍용차 해고자, 삼성 백혈병 문제에 그나마 연대했던 ‘SNS 셀럽’ 대다수도 이 문제를 거론하지 않는다. 고공농성 100일을 넘긴 삼성해고자 김용희씨 문제를 두고도 별로 발언하지 않는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차별금지법’ 제정에 소극적이다. ILO협약의 완전한 비준도 지지부진하다. 정부는 전교조 법외노조 통보 조처도 직권취소하지 않고 있다. 이런 문제를 두고 ‘무소의 뿔처럼 밀고 가’는 일은 없다. 집권세력은 조국 문제를 ‘진영 대결’로 치환해 극한 대치 정국을 만든다. 시민 삶의 절체절명의 과제를 정권의 승리 같은 이해관계 문제로 바꿔놓는다.

이 대치엔 불가피한 요소가 없진 않다. 20일 저녁 덕수궁 대한문 앞을 지날 때 박근혜 석방과 ‘조국 OUT’ 현수막을 내건 무리는 미국 국가를 틀어놓고 ‘트럼프에 대한 경례’ 의식을 진행 중이었다. 광장과 삭발을 혐오하던 자유한국당이 광장에서 머리를 깎으며 총선·대선 승리를 꿈꾼다. 조국에 문제의식을 느끼더라도 비판에 나서기 어려워하는 이들이 고민하는 지점도 여기 있을 것이다.

도덕과 공정의 최저 하한선을 두고 수구보수세력과 다툴 일은 아니다. 조국사태가 수구보수세력에 복권과 활개의 빌미를 주고 만 점을 성찰하지 않고서는 선거에 승리한들 ‘덜 나쁜 정권’이 될 수밖에 없다. 덜 나쁜 정권이 사모펀드 같은 자본주의 투기 문제나 사학재단 비리 문제를 거론할 수 있을까.

조국은 한편에선 ‘개혁 영웅’이 됐다. ‘조국 수호’를 외치는 이들은 그 없이는 개혁이 한 치 앞도 나갈 수 없을 듯 말한다. 이 개혁은 선택적이다. 그것도 조국이 민정수석일 때 완수했어야 할 개혁이다. 

많은 이들이 여전히 ‘패배자’로 남았다. 이들의 이야기는 외면된다. 이들을 위한 개혁도 뒷전이다. 

‘사소한 물음들에 답함’에서 송경동은 소속을 이렇게 밝혔다. “가진 것 없는 이들의 무너진 담벼락/ 걷어차인 좌판과 목 잘린 구두, /아직 태어나지 못해 아메바처럼 기고 있는/ 비천한 모든 이들의 말속에 소속되어 있다고.”

<김종목 사회부장>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