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알맞는/알맞은? 어떤 게 맞죠?” “걸맞는과 걸맞은의 차이점은?”
이처럼 인터넷상에 ‘알맞는(걸맞는)’이 맞는지, ‘알맞은(걸맞은)’이 맞는지 묻는 질문이 많다. 그만큼 이들의 쓰임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많다는 뜻일 것이다. ‘알맞은’과 ‘걸맞은’이 바른 표기다.
많은 이들이 ‘알맞는’ 또는 ‘걸맞는’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것은 ‘맞다’의 영향이 크다. ‘알맞다’와 ‘걸맞다’가 ‘맞다’에서 온 형용사이고, 동사 ‘맞다’의 활용형인 ‘맞는’이 널리 쓰이고 있어 ‘알맞는(걸맞는)’이 자연스러워 보인다.
얼굴에 알맞은 화장법 (경향DB)
그런데 형용사는 어미로 ‘는’을 쓸 수 없다. 반드시 ‘은’을 붙여 써야 한다. ‘알맞는’과 ‘걸맞는’이 틀린 이유다. 예외적으로 ‘없다’는 형용사이지만 ‘은’ 대신 ‘는’을 붙여 쓴다.
반면 ‘는’은 동사에 붙는 어미다. 그래서 ‘맞다’는 동사이기 때문에 ‘맞는’은 적절하게 쓰였다. 주의할 점은 동사도 과거일 때는 ‘은’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맞은 문제’는 제대로 쓴 것이다.
그러면 동사와 형용사는 어떻게 구분할까. 일반적으로 ‘(ㄴ)는다’를 붙여 말이 되면 ‘동사’이고, 그렇지 않으면 ‘형용사’다.
‘알맞는다’ ‘걸맞는다’는 말이 되지 않기에 ‘알맞다’ ‘걸맞다’는 ‘형용사’이다. 반면 ‘맞는다’는 말이 자연스럽기 때문에 ‘맞다’는 동사다.
김선경 기자 sunkim@kyunghyang.com
'=====지난 칼럼===== > 알고 쓰는 말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 쓰는 말글]머지않다와 멀지 않다 (0) | 2013.05.30 |
---|---|
[알고 쓰는 말글]누출과 유출 (0) | 2013.05.23 |
[알고 쓰는 말글]‘상남자’ (0) | 2013.04.25 |
[알고 쓰는 말글]‘재원’은 여자에게만 (0) | 2013.04.18 |
[알고 쓰는 말글]역임과 구설수 (0) | 2013.04.11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