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반 칼럼

[여적]서울 인구 1000만명

opinionX 2015. 5. 17. 21:00

돌아보면 1988년은 중요한 정치·사회적 전환이 이뤄진 해였다. 우선 전두환 군부독재정권에서 벗어나 6공화국이 출범했다. 노태우 정권이 민주정권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민주정권으로 가는 교량 역할을 했다. 두 해 전 아시안게임에 이은 올림픽 개최도 중요 사건이다. 부작용도 많았지만 이를 계기로 국가적 위상이 높아진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사회적으로는 서울 인구 1000만명 돌파가 꼽힌다. 급속한 경제성장과 농촌 공동체 붕괴와 맞물린 도시집중의 결과다.

서울 인구 증가는 50년 전부터 국제적으로 화제가 됐다. 본격 경제개발이 시작된 1964년 서울 인구는 468만명. 6·25전쟁 후인 1955년 150만명에 비하면 10여년 만에 3배로 늘었다. 세계 도시화 사상 ‘경이로운 신기록’으로 불렸다. 공업화 초기 단계 국가의 수도 인구가 50만명에서 100만명으로 팽창하는 데 통상 20년이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그럴 만도 했다. ‘한강의 기적’은 서울의 인구 증가에도 어울리는 말이었던 셈이다. 대기업 본사의 95%, 4년제 대학의 85% 등 모든 것을 가진 도시가 인구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될 것은 당연한 이치였다.

서울 광화문 일대를 찍은 사진 (출처 : 경향DB)


서울 인구는 2000년대 들어 증가 추동력을 잃었다. 증가세 둔화를 거듭하더니 급기야 2013년 1000만명의 벽이 깨졌다. 주민등록인구는 1014만명이었지만 실제로 서울에 살고 있는지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거주불명등록자와 재외국민을 제외한 실제 총거주자수가 999만명으로 집계됐다. 25년 만에 1000만명 아래로 내려간 것이다. 현재도 서울 인구는 매년 5만명씩 줄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어제 인구추계를 통해 지금 추세대로라면 서울은 주민등록인구도 내년 말이나 내후년 초 1000만명 선이 붕괴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 경제성장의 상징이라 할 서울이 ‘쇠락의 길’로 접어든 셈이다. 영원한 것은 없는 법이다.

서울 인구 집중 현상의 발목을 잡은 주요인은 집값 등 주거비라고 한다. 집값이 크게 오르면서 인구의 대거 이탈이 이뤄진 것이다. 문제는 서울 유출 인구가 경기도 등 수도권에만 정착하고 있는 현실이다. 여타 지역으로 분산되지 않는다면 실질적인 지방균형발전과는 거리가 있다.


조호연 논설위원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