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사인 볼트(자메이카·29)는 이름 그대로 ‘번개’라 할 수 있다.
번쩍하는 사이에 100m(9초58)와 200m(19초19)를 한달음에 달려버린다. 196㎝, 95㎏의 탄탄한 몸으로 무장, 다른 선수들이 44걸음에 내달리는 100m를 41걸음으로 끝내 버린다. 최대 보폭은 243㎝나 되며 평균시속은 37.6㎞에 이른다. 60m부터 시작되는 가속구간의 순간최고속도는 시속 45㎞에 달한다. 영국 브루넬대의 크레이그 샤프 교수는 “볼트가 아킬레스건을 활용해 짧은 접지시간에 더 강하게 지면을 차버림으로써 가속을 얻는 능력이 탁월하다”고 분석했다. 그제 베이징 세계육상선수권대회 100m 결승에서는 ‘바람보다 빠르다’는 저스틴 게이틀린(미국·33)을 제치고 9초79로 우승을 차지했다. 어찌 바람이 번개를 이길 수 있겠는가.
그러나 그런 볼트 역시 ‘인간계의 최고’일 뿐이다. ‘동물계’에서는 명함도 내밀지 못한다. 아무리 빠르다 한들 치타의 속도(시속 104㎞)를 따라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가지뿔영양(시속 89㎞)과 검은꼬리누(시속 80㎞)는 물론, 타조(시속 64㎞)에도 미치지 못한다. 볼트가 9초58에 뛴 100m를 치타는 5초80 만에 가볍게 달린다. 물론 치타의 경우 그렇게 달려 잡은 동물 고기를 먹으려면 약 30분은 호흡을 가다듬어야 하는 게 단점이긴 하지만…. 코요테(시속 40~48㎞)는 인간이 추격할 수 있는 동물이라지만 그 역시 따라잡을 수는 없다. 추격을 당해 목숨이 위태로우면 코요테의 순간속도가 시속 69㎞로 올라간다. 그나마 우사인 볼트의 경쟁자로 꼽을 수 있는 동물이 있다. 단봉낙타이다. 단봉낙타는 우사인 볼트의 평균시속(37.6㎞)보다 느린 시속 35.3㎞로 달리니까 승패를 겨뤄볼 만하다. 하지만 경주에 훈련된 낙타와의 ‘벼랑 끝 승부’라면 과연 승리를 장담할 수 있을까.
미국 서던 메소디스트대 연구팀은 100m 달리기 인간의 한계속도가 ‘이론상’ 시속 64.37㎞(40마일)에 이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인간의 팔다리 움직임과 근섬유의 움직임이 이상적으로, 그것도 빨리 움직여야 가능한 속도다. 100m 기록으로 환산하면 5초대 중반으로 치타와 견줄 수 있다는 것이다. 과연 도달할 수 있는 목표인가. 그저 이론상의 기록이겠지.
이기환 논설위원
'주제별 > 스포츠와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적]FIFA 랭킹의 세습 (0) | 2015.09.09 |
---|---|
[정윤수의 오프사이드]운동장 파괴의 비극 (0) | 2015.09.07 |
[정윤수의 오프사이드]‘한국 스포츠 70년사’ 문제적 해석의 필요성 (0) | 2015.08.17 |
[여적]빨치산 축구 (0) | 2015.08.07 |
[정윤수의 오프사이드]‘몸글몽글’ 스포츠선수와 글쓰기 교육 (0) | 201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