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반 칼럼

[여적]위베르 특공대

opinionX 2019. 5. 13. 11:08

프랑스군 하면 흔히 ‘외인부대’를 떠올리지만 진짜 최강의 특수부대는 따로 있다. 프랑스의 그린베레, 즉 해군 특수부대다. 그런데 이 부대는 외인부대처럼 전통에 빛나는 부대가 아니다. 2차대전 중 드골 장군이 망명지 영국에서 ‘자유프랑스군’으로 급조한 것이 시발이다. 이들 부대원들은 스코틀랜드 등지에서 훈련받은 뒤 프랑스 내로 투입돼 레지스탕스와 협공을 펼쳤다. 우리로 치면 광복군이었던 셈이다. 이들 대원 중 제1해군특공대대 소속 오귀스탱 위베르(Augustin Hubert) 중위가 있었다. 1944년 6월6일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투입된 그는 길을 여는 임무를 완수하다 전사했다.

2차대전이 끝난 뒤 레지스탕스는 해체됐지만 특수부대들은 인도차이나와 아프리카 등 식민지에서 프랑스의 이익을 지킨다는 명분으로 유지됐다. 현재 700여명의 대원이 7개의 부대에 편성돼 있다. 이들은 작전 중 산화한 초창기 대원의 이름을 부대명으로 쓰고 있는데, 그중 위베르 부대가 핵심이다. 이 부대는 대외정보기관인 대외안보총국(DGSE)과 함께 대테러 임무를 수행한다. 2개 중대에 부대원이 100명이라는 정도만 알려졌을 뿐 나머지는 철저히 비밀에 부쳐져 있다. 미 해군 특수부대 ‘네이비 실’ 내 최정예팀 ‘데브그루’와 비슷하다. 오사마 빈 라덴을 사살한 바로 그 팀이다. 두 부대가 다른 특수부대에서 뽑은 최정예 대원들로 구성된다는 점도 같다.

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에서 인질로 잡혔다 구출된 한국 여성(왼쪽)이 11일(현지시간) 프랑스 빌라쿠브레 공군기지에 도착해 마중나온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가운데) 뒤에서 걸어가고 있다. 파리 _ EPA연합뉴스

위베르 특공대가 서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의 무장조직으로부터 자국인 2명과 한국인 등 인질을 구출해 내 유명해졌다. 작전 도중 특공대원들이 인질의 안전을 위해 총기를 쓰지 않고 무장조직원들을 급습하다 대원 2명이 희생됐다. 이 때문에 정부의 여행금지를 무시하고 아프리카에 여행 간 인질들에 대해 비난 여론이 일고 있다고 한다. 특수부대 작전은 인질 구출이나 목표물 제거는 물론 퇴각까지 완벽해야 성공한다. 시뮬레이션으로 수십 번 작전을 검토해도 변수가 생기게 마련이다. 빈 라덴 사살 작전 당시 스텔스 헬기가 불시착하자 생중계로 이를 지켜보던 버락 오마바 대통령의 얼굴이 사색이 된 것은 유명하다. 8년 전 해군 특수부대원들이 ‘아덴만 여명’ 작전에서 보여준 능력의 수준을 가늠케 한다.

<이중근 논설위원>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