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온몸으로 종을 쳐서 은혜를 갚은 까치의 전설을 접한 이래 치악산은 일찍이 머리에 각인된 산이다. 군대와 친구 등 원주에 관계된 일도 무시로 있어서 자주 기억에 소환되기도 했다. 그런데 그럴 때마다 조금 우울한 느낌으로 치악산과 맞닥뜨려야 했다. 사연이 있다. 오래전 회사 야유회를 치악산으로 간 적이 있었다. 산에 대해 아무런 개념도 없었던 터라 어느 중턱에서 그냥 발길을 돌려 닭백숙집으로 직행하고 말았던 것. 까마득히 잊은 줄 알았는데 특히 강원도 쪽으로 산행할 때마다 그 못난 행각이 슬금슬금 기어나오는 것이었다. 내 삶이 너덜너덜하다면 바로 이런 사실들이 모여서 그렇게 되는 것.
여러 곡절 끝의 어느 날 오후 두 시. 치악산의 황골을 혼자 오르기 시작했다. 뒤에는 안간힘을 다해 받쳐주는 내 그림자뿐이고 앞으로는 하산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낭창한 가지를 튕기고 오는 바람들처럼 정상을 짚고 오는 그때 내 나이쯤의 활달한 청춘들이 몹시 부러웠다. 입석사를 지나면서부터 길이 회초리처럼 가팔랐다. 쥐너미재에서 시간을 보니 좀 빠듯할 것 같았다. 스산한 가을 햇살은 벌써 흰 머리카락처럼 축축 처지고 있었다.
멀리서 볼 때 종 두 개를 엎어놓은 듯한 돌탑이 우뚝한 비로봉에 겨우 도착했다. 그날 이후 내 아무리 복잡한 마음의 회로를 따라 지금에 이르렀다 해도 치악은 늘 제자리에 있었다. 여느 산의 꼭대기와는 사뭇 다른 이 기분과 이 기운. 끊어졌던 길 하나를 잇고 나니 스무 살의 하루가 철커덕 오늘과 연결되는 느낌이 들었다.
세 바퀴 탑돌이하고 내려가는 길. 산국과 이고들빼기가 단풍의 모자란 산색을 보충해 주고 있었다. 점점 짙어지는 저녁 어스름. 멀리 나무들이 점점 짐승의 웅크린 자세를 갖춰가는 중이었다. 그 가운데에서 익어가는 열매들이 반짝이고 있었다. 세상의 모든 짐승들, 하늘이 보낸 눈이 아닐까. 모퉁이를 돌 때마다 그들이 나를 지켜보고 있다는 생각이 자꾸 들었다. 마음의 얼룩 하나를 지운 느낌으로 이제 나는 퍽 다른 사람이 되었노라고 말해볼까. 어둠의 지퍼를 차례로 닫으며 내려와 골프를 끝낸 친구들이 기다리는 두부집으로 향했다.
<이굴기 궁리출판 대표>
'=====지난 칼럼===== > 이굴기의 꽃산 꽃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에서 만나는 전문가들 (0) | 2020.11.17 |
---|---|
경남 의령 빗방울 화석지 옆에서 (0) | 2020.11.10 |
북극곰이 흰고래를 기다릴 때의 고독 (0) | 2020.10.27 |
안동 암산의 소나무 아래에서 (0) | 2020.10.20 |
[이굴기의 꽃산 꽃글]끈끈이주걱과 각다귀를 보는 저녁 (0) | 2020.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