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해 축산물 생산액은 농업 생산액 44조6088억원 중 36.4%인 16조2328억원을 기록했다. 그리고 한해 동안 국민 한명이 육류 42.8㎏, 계란 2.2㎏, 우유 71.3㎏을 소비했다. 축산업 생산유발액을 따지면 연간 58조원으로 추정되며, 56만여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축산업이 식량주권 및 사회 안정에 중요한 산업이라는 점을 보여 준다.

그러나 축산 생산 현장은 현재 초고령화와 대를 이을 후계자가 없어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고령화사회’란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7%를 차지하는 사회를 말하며, 14%를 넘으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라고 유엔 규정에 정의하고 있다

통계청의 ‘2013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축산분야의 고령화율은 44.3%에 달했다. 이는 전체 인구 고령화율 12.2%보다 3.6배 이상 높고 농업분야의 고령화율 36.8%보다 1.2배 높은 수치다. 이는 10년 후가 되면 대부분이 가축을 사육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농촌에서 가축을 볼 수 없게 될 날이 머지않았다는 예고다.

일부에서는 축산농가 감소를 기업화와 규모화로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농업농촌에서 건실한 가족농(家族農)의 중요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한 수치를 따지는 오류에서 비롯된 것이다. 규모화는 그냥 되는 것이 아니다. 대를 물려주기 위해 축사를 증축하거나 신축하려 해도 적용되는 규제가 한 두가지가 아니다. 시설 현대화자금 지원도 담보가 없는 많은 농가들에는 그림의 떡이고, 농어민후계자 자금이 저리라고 하지만 거치 기간이 짧아 축산업을 해서 3년 동안 벌어 갚아나갈 수도 없다.

넓은 토지와 규모화된 농기업을 가지고 있는 미국을 포함한 북중미의 경우 자국 농산물의 80% 이상을 가족농을 통해서 공급받고 있다. 특히 미국은 지역을 기반으로 한 적극적 가족농 육성 및 지원을 통해 식량자급률 150%를 달성하고 있다. 이는 식량자급률이 23.1%에 불과한 우리나라 농·축산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앞줄 왼쪽에서 세번째)등이 31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한우의 날' 기념 행사에서 주먹밥을 만들어 시민들에게 나눠주고 있다. (출처 : 경향DB)


농협에서는 내년에 자체 자금 1000억원을 투입해 ‘젊은이가 돌아오는 축산운동’을 전개한다. 젊고 유능한 전문인력이 축산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후계창업기금조성, 축사은행사업, 소규모 친환경 축산단지조성, 후계 축산인에 대한 종합적 지원과 컨설팅 사업을 시범적으로 운영해 본 후 이 성과를 바탕으로 정부와 생산자단체 등의 참여를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2014년은 유엔이 정한 세계 가족농의 해다. 청년들이 생활하는 농촌, 젊은이가 돌아오는 축산 운동의 성공을 위해서는 국민들의 참여와 적극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6차 산업이라는 개념을 차용한 것은 농촌을 놀이터로 만들겠다는 의미가 아니다. 농업과 제조업 그리고 서비스업이 함께 어우러지게 함으로써 생동감 넘치는 농촌을 만들자는 의미다.


이기수 | 농협중앙회 축산경제대표이사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