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강신주 | 철학자
‘시간을 훔치는 도둑과, 그 도둑이 훔쳐간 시간을 찾아주는 한 소녀에 대한 이상한 이야기’라는 부제가 붙은 <모모>라는 소설을 아는가? 독일 작가 미하엘 엔데(Michael Ende)가 1973년 집필한 흥미진진한 동화로 우리에게도 이미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은 소설이다. 독일 어느 마을 원형극장 유적지에 말라깽이 소녀 모모가 살게 되는 것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녀에게는 타인의 말을 경청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당연히 마을 사람들은 외롭거나 우울할 때, 혹은 삶에 지쳐 피곤할 때, 그녀에게 달려와 자신의 속내를 털어 놓는다. 모모에게 이야기를 나누는 것만으로 그들은 자신의 삶을 반성하고 앞으로 삶을 살아낼 수 있는 용기와 희망을 얻곤 했다. 그렇지만 마을 사람들과 모모 앞에 아주 강력한 적들이 등장한다. 바로 시간도둑들이다. 그들은 효율적인 시간 관리의 중요성을 설교하러 다니는 자본주의적 삶의 가치의 전도사들이다.
잠시 모모가 마을을 비운 사이에 마을 사람들은 시간도둑들에게 설득되어 버린 것이다. 이제 마을 사람들은 더 이상 모모를 찾아오지 않는다. 더 이상 그들에게는 모모와 이야기를 나눌 시간의 여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자본주의적 시간관념을 주입시키면서 시간도둑들이 그들에게서 모모와 대화할 수 있는 시간마저 훔쳐간 것이다. 시간을 합리적으로 지배하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었지만, 이제 그들은 시간의 지배를 받게 된 것이다. 살아가면서 향유하는 시간이 아니라 이윤을 위해 소비되는 시간 관념이 그들 마음에 똬리를 틀었기 때문이다. 비록 동화의 형식을 띠고 있지만 <모모>라는 소설이 우리 가슴 한 부분을 서늘하게 만드는 이유도 다른 데 있는 것이 아니다. 소설의 마지막 장을 넘기며 우리는 자신이야말로 시간도둑에게서 시간을 빼앗긴 마을 사람들과 다름이 없다는 것을 느끼게 되니까 말이다.
이렇게 <모모>라는 소설은 도둑맞은 시간, 혹은 강탈당한 시간을 성찰해볼 수 있는 자리로 우리를 안내한다. 사실 시간의 비밀을 알려면 원시시대로 돌아가 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원시인들에게는 동물을 사냥하거나 과실을 채집하는 시간과 사냥한 것을 가족이나 부족과 나누며 향유하는 시간이 있다. 전자가 ‘노동하는 시간’이라면 다른 하나는 ‘사랑하는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이런 사랑하는 시간이 있었기에 그들은 자신의 동굴에 벽화를 그리고 축제를 벌일 수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 원시인 누구나 노동하는 시간은 사랑하는 시간을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던 것이다. 비록 원시적이고 고단한 삶을 영위했지만 그들은 행복이 무엇인지를 알았던 것이다. 행복이란 가급적 노동하는 시간을 줄여 인생 전체 시간에서 사랑하는 시간이 많아지는 것에 지나지 않으니까. 물론 사랑하는 시간을 위해 완전히 노동하는 시간을 제거할 수는 없다. 어떻게 배가 고픈 사람이 어떻게 타인과 사랑을 나누며, 예술을 향유할 수 있다는 말인가.
출처 : 경향DB
▲ 자본주의적 삶의 가치 ‘시간의 지배’ 종속 불러
노동 줄여 사랑할 시간 늘려야 진정한 경제 성장·진보
행복에 대한 원시인의 ‘오래된 미래’에서 우리는 진보의 잣대 한 가지를 얻게 된다. 노동하는 시간이 줄어 상대적으로 사랑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면, 그 사회는 과거보다 진보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여기서 우리는 심각한 의문을 던질 수밖에 없다. 우리가 자랑하는 자본주의 사회는 과거 사회보다 더 진보한 사회인가? 이것은 자본주의 사회가 노동하는 시간을 줄여서 사회 성원들에게 사랑하는 시간을 더 많이 허용하는 좋은 사회인가라는 물음에 다름 아니다. 과거 농경사회를 떠올려보자. 남루해 보이는 이 시절에도 사람들은 노동하는 시간만큼 사랑하는 시간도 충분히 확보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노동하는 시간, 즉 농번기만큼이나 노동에서 면제되는 사랑하는 시간이 넘치도록 충만했다. 바로 농한기이다. 겨울 동안 아이들이나 친구들과 토끼 사냥이나 꿩 사냥을 떠나는 농부의 행복한 얼굴을 떠올려보라.
물론 우리 시대 시간도둑들은 당시 농경시대의 낮은 GDP를 내걸며 그때가 불행한 사회였다고 주장할 것이다. 심지어 지금은 농경시대 경제난을 상징하는 보릿고개가 사라졌다고, 그래서 지금 자본주의 사회가 더 진보한 사회라고 설레발을 칠 것이다. 항상 시간도둑들은 이런 식이다. 인간의 행복이 질적이라는 사실을 은폐하고, 우리의 행복은 자본의 양에 의존한다는 궤변을 펼치니까 말이다. 그렇다면 묻고 싶다. 지금 그렇게 GDP가 높은데도 우리가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를 달리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 이웃들이 스스로 자신의 삶이 불행하다고 느끼고 있다는 반증 아닌가? 그리고 덤으로 알아두자. 과거 농경사회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보릿고개라는 현상의 이면에는 정부나 지주의 창고에서 곡식이 썩어가는 냄새가 진동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어쨌든 최소한의 공동체가 이루어진 다음에 정의로운 삶의 규칙이 존재한다면, 굶주림으로 죽어가는 일은 있을 수 없는 법이다.
지금 우리 사회에는 우리들에게 사랑하는 시간을 허락하지 않는 시간도둑들로 가득하다. 안정적 직장을 허용하지 않는 자본가들, 저임금을 유지하면서 맞벌이를 강요하는 자본가들, 농한기에 비해 너무나 작은 휴가 기간을 생색이라도 내듯이 허락하는 자본가들, 살인적인 경쟁 교육으로 아이들이 서로 사랑할 수 있는 시간마저 빼앗고 있는 교육 당국자들, 근본적으로 사랑하는 시간을 늘려주는 것이 아니라 분배를 더 늘리겠다는 미사여구만을 읊조리는 정치가들. 자본주의 체제가 과거보다 진보적이라고 역설하는 지식인들. 농가성진(弄假成眞)이라고 했던가. 거짓말도 반복되면 진실이 되어버린다는 말이다. 시간도둑들의 거짓말은 반복되면서, 우리는 지금 자신의 삶이 처한 불행에 눈을 감고 있다. 그렇지만 언제까지 우리는 시간도둑들의 말에 순진하게 속고만 있을 것인가. 이제 인정해야 하지 않을까. 지금 우리의 삶은 원시인들보다 더 불행한 삶을 영위하고 있다고.
사랑하는 시간을 위해 우리는 노동하고 있는가? 어쩌면 우리는 소와 같은 삶을 영위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아침 일찍 나가 저녁 늦게까지 밭을 갈다가, 소는 축사에 들어오면 잠에 곯아떨어진다. 옆에 있는 소와 하루 있었던 일을 도란도란 이야기하거나 몸을 비빌 시간도 없다. 소의 일과와 우리의 그것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일주일 내내 노동하다가 주말이 되면 쉬기에 바쁜 우리가 어떻게 타인과 이야기를 나누고 예술을 만끽하는 사랑의 시간을 향유할 수 있다는 말인가. GDP가 그만큼 올랐으면, 사회체제는 주5일 근무가 아니라 주4일, 혹은 주3일로 노동하는 시간을 줄여야 하는 것 아닌가. 불행히도 시간도둑들의 집요한 설교 탓인지 우리는 사랑하는 시간의 증가야말로 사회의 진보를 나타낸다는 사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행복이라는 사실을 망각하고 있다. 그래서 가수 김만준도 ‘모모’를 부르며 절규했던 것 아닐까. “그런데 왜 모모 앞에 있는 생은 행복한가. 인간은 사랑 없이 살 수 없다는 것을 모모는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칼럼===== > 강신주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자 강신주의 비상경보기]빚 권하는 사회 (0) | 2012.09.02 |
---|---|
[철학자 강신주의 비상경보기]지금 누가 파시즘적 유령을 불러내는가 (0) | 2012.08.19 |
[철학자 강신주의 비상경보기]당신은 감정을 지킬 힘이 있는가 (0) | 2012.07.22 |
[철학자 강신주의 비상경보기]지금 우린 ‘염려사회’에 살고 있다 (0) | 2012.07.09 |
[철학자 강신주의 비상경보기]멘토를 만나면 멘토를 죽여라 (0) | 2012.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