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ㆍ윤미향  정의기억연대 대표

“여러분, 지금 전 세계에 나비가 날고 있어요. 이 늙은 나비도 날며 다녀요.” 2015년 8월14일,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에 김복동 할머니는 단상에 올라 온 얼굴에 웃음을 가득 머금고 그렇게 외쳤다. 일본 정부는 여전히 과거 전쟁에서 저지른 그들의 죄악에 대해 반성하지 않고 있었다. 오히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향해 “강제로 연행했다는 증거가 없다”며 일본군 성노예 범죄의 책임을 피해자 탓으로 돌리고 있을 때였다. 그런 절통한 상황이었는데도 할머니는 일본 정부가 역사를 부정하는 행위를 하면 할수록 ‘우리가 이겼다’라고 생각했다.

“나는 희망을 잡고 살아”

30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제1372차 수요집회에서 참가자들이 故 김복동 할머니를 추모하고 있다. 김정근 선임기자

2017년 5월부터 시작된 암투병 생활로 몸이 극도로 쇠약해진 상황에서도 희망은 꺾이지 않았고, “전쟁에서도 살아나왔는데, 이까짓 암을 못 이기겠느냐”며 활동을 계속하셨다. 수요시위에도 나와 청춘 세대들에게 좌절하지 말라고 격려하셨다. 투병생활로 목소리에 힘은 많이 빠졌지만 할머니를 찾아온 사람들을 향해서는 “나는 희망을 잡고 살아. 여러분도 희망을 포기하지 마세요”라는 소중한 말씀을 사람들의 가슴에 꽂아주셨다. 

2018년 일본을 방문해 시민들에게 “우리는 촛불로 정권을 바꿨어요. 여러분도 힘내서 꼭 일본 정부가 우리들이 죽기 전에 사죄하도록 힘써 주세요”라며 일본사회의 변화를 꿈꾸셨다. 재일조선학교 학생들에게 “힘껏 돕겠으니 여러분은 열심히 공부해서 우리나라가 통일이 되고 평화를 이룰 수 있도록 힘써주세요”라며 총 1억여원의 장학금을 내놓으셨다.

29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실에 마련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에서 윤미향 정대협 대표가 영정을 바라보고 있다. 이준헌 기자

세계 각지의 무력분쟁에서 성폭력 피해를 입은 여성들을 향해서는 힘내서 싸우라고 격려하며 김복동평화상을 만드시고,5000만원의 후원금을 내놓으셨다. 무력분쟁지역 인권운동가 양성에 할머니의 평화의 꿈을 실어 콩고로, 우간다로 날갯짓을 펼쳤다.“한국군에게 우리처럼 성폭력 피해를 입은 여성들에게 한국 국민으로서 너무나 죄송합니다”라며 베트남 전시 성폭력 피해자 지원 활동에 적극 참여해 오셨다.

죽을 때까지 인권운동가

1992년 3월에 부산 다대포에 ‘위안부’ 피해자가 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나는 곧바로 연락처를 수소문하여 찾아뵈었고, 그때부터 인연이 닿아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인권운동가로 함께 걷기 시작하였다. 할머니는 유엔 세계인권대회 등 국제인권기구에 직접 참석하여 피해를 증언하셨다. 세계를 돌며 치열하게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여성인권운동가로 살아오셨다. 1992년부터 시작된 수요시위에서는 아무리 더운 날도, 아무리 추운 날도 할머니의 목소리가 높은 빌딩숲을 넘어 하늘을 찔렀다.그 세월이 어언 27년. 67세에 시작한 활동은 94세가 되어도 계속됐다. 할머니의 꿈 ‘살아생전 일본 정부의 사죄’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내가 김복동이다

1월28일 오후 10시41분, 할머니는 고통스러웠던 암투병 생활을 마감하고 고단하고 억울한 숨을 거두셨다. 임종을 지키던 사람들에게 끝까지 포기하지 말아 달라고 당부하시고, 당신이 못다 한 재일조선학교 지원도 부탁하셨다. 일본 정부를 향해서는 ‘나쁜 놈들’이라며 분노를 표출하시며 사력을 다해 유언을 남기셨다. 죽을 때까지 인권운동가셨다.

이제 더 이상 수요시위에서 할머니의 하늘을 찌를 듯한 기상을 느낄 수 없다. 더 이상 그렇게 분명하고 힘있게 피해 당사자의 목소리를 피력하시던 할머니의 모습을 직접 볼 수 없다. 유엔인권기구의 최고수장을 만나도 전혀 개의치 않고 당당하고 용감하게 ‘위안부’ 문제를, 전쟁 없는 세상을 이야기하던 할머니의 목소리를 이제 들을 수 없게 되었다. 할머니와 이별하는 슬픔이 너무 깊어 아직도 실감이 나지 않는다.

‘희망을 잡고 산다’시던 할머니에게 정말 희망을 걸고 사는 여성들이 있다. 세계 각지의 전쟁에서 성폭력 피해를 입은 생존자들이 지난 27년 동안 할머니가 인권·평화 운동가로 걸어왔던 삶을 뒤따르며 외치고 있다. “김복동, 당신은 우리의 마마, 당신은 우리의 영웅, 우리의 희망.” 그리고 일본 정부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사죄와 배상을 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자신들이 ‘김복동’이라고 외치고 있다.

할머니의 치열했던 삶과 죽음에 맞닿게 된 우리가 지금 할 수 있는 것, 바로 ‘내가 김복동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내가 김복동의 역사이고, 내가 김복동 할머니의 27년간의 인권·평화운동의 계승자다. 일본군 성노예제 범죄의 가해자인 일본 정부로부터 사죄와 배상을 받아내고, 이 땅에 전시 성폭력 피해자가 다시는 나오지 않도록 만들어갈 김복동. 수천, 수만의 김복동이 다시 살아 할머니께서 이루고 싶었던 꿈을 이루기 위해 목소리를 내는 날, 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오르는 김복동 할머니.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