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혁신학교가 무척 많았던 것처럼 제목을 붙였지만 실제로 그랬던 것은 아니다. 혁신학교로 지정된 학교는 일부였다. 그중 성공한 혁신학교는 또 일부에 불과했다. 그러나 그 일부의 일부에 불과했던 학교가 준 희망은 대단했다. 불가능하리라 여겨졌던 일들이 실현됐다. 성공한 혁신학교는 주입식·암기식·강의식 수업에서 벗어나 선진국에서나 가능하다고 보았던 토론과 발표 위주의 수업을 학교 차원에서 실현했다. 강압적 생활지도에서 벗어나 학생을 존중하는 새로운 생활지도를 학교 차원에서 실현했다.

많은 사람들이 혁신학교에서 우리 교육의 희망을 보았다. 그중의 한 명이 조정래 작가다. 그의 교육소설 <풀꽃도 꽃이다>에는 “여긴 지옥, 거긴 천국”이란 표현이 등장할 정도다. 여기서 지옥은 일반학교, 천국은 혁신학교다. 물론 과장과 일반화가 좀 지나치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정래의 소설은 어떤 사실 하나를 진실하게 드러내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혁신학교에서 우리 교육의 희망을 보았다는 그 사실 말이다.

진보교육감 시대가 열린 2014년 지자체 선거를 기억하는가? 당시 많은 사람들은 혁신학교가 우리 교육의 중요한 화두가 될 것이라 생각했다. 혁신학교를 ‘전교조 공작소’ 정도로 생각하는 왜곡된 인식체계를 갖고 있던 보수언론(조선일보 2014년 6월10일자 류근일 칼럼)이 진보교육감 시대를 부정적으로 보았던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혁신학교가 사라져버린 것처럼 제목을 붙였지만 지금도 혁신학교는 여전히 존재한다. 줄기는커녕 오히려 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혁신학교가 사라진 것처럼 표현한 것은 혁신학교다운 혁신학교가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별처럼 빛나는 성과를 낸 혁신학교들이 점차 평범한 학교로 돌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사라지는 별들을 대신하여 새로 빛나는 별들이 등장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혁신학교라는 말에서 피로감을 느끼는 교사들이 많아졌어요.” “사람들은 다 여기저기 흩어져 버리고 잔해와 잔상만 남았지요.” “여기서 전근 갈 때 또다시 혁신학교를 지원하는 교사들이 없어요.” 혁신학교 교장과 교사들의 말이다.

나는 혁신학교를 높이 평가했지만 그 미래까지 밝게 보지는 않았다. 혁신학교의 성공은 제도와 법령의 혁신으로부터 비롯된 게 아니다. 교육의 제도와 법령은 여전히 예전 그대로였다. 혁신학교 성공의 가장 큰 요인은 교사들의 헌신과 열정이었다. 변화를 열망하는 교사들이 혁신학교에 모여 엄청난 에너지를 동시에 투입했기에 혁신학교의 성공이 가능했던 것이다.

교사들의 헌신과 열정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이러한 성공사례가 오래 지속되거나 다른 학교로 널리 확산된다는 것은 애초에 어려운 일이다. 나는 우리나라 학교를 네모난 바퀴가 달린 수레에 비유하곤 한다. 누가 끌어도 멀리 갈 수 없는 수레다. 혁신학교 교사라고 해서 둥근 바퀴 수레를 끌었던 게 아니다. 그들 또한 네모난 바퀴의 수레를 끌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제법 먼 거리를 나아갔던 것이다. 그리고 결국 이것이 한계에 도달한 것이다.

이렇게 보면 혁신학교다운 혁신학교가 사라지고 있는 것은 그 누구의 잘못도 아니다. 사라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 사라지고 있으니 담담하게 생각하면 그만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래도 여전히 아쉬움은 남는다. 그 많던 혁신학교로부터 우리는 어떤 교훈을 얻고 있는가?

이기정 | 서울 미양고 교사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