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진 안전지대라던 대한민국에서 규모 6.8의 강진이 발생하는 등 최근 대한민국은 다시금 ‘안전’이 화두다. 그런데 얼마 전 국정감사에서 국민안전처 장관이 한 “재난 대피 매뉴얼은 영원히 완성되지 않아”라는 발언은 국민들에게 실망을 넘어 허탈감을 안겨주었다.

사회의 축소판인 학교 현장에서도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 경주 지진 참사 이후 각 학교에 재난 대피 매뉴얼이 배포되고 이를 바탕으로 지진 대피 훈련이 실시됐다. 하지만 매뉴얼의 지침은 기존에 있던 소방 대피 훈련과 대동소이했다.

19일 서울 강동구 상일동 고덕주공3단지에서 진행된 서울시 지진방재 종합훈련에서 학생들이 불길과 연기를 피해 대피하고 있다. 이날 훈련은 진도 6.8 규모의 지진 발생을 가정해 실시됐으며 47개 기관 3400여명과 헬기 12대, 차량 162대 등이 동원됐다. 고덕주공3단지는 재건축을 위해 철거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준헌 기자

“왜 이런 매뉴얼이 개발되었을까?”라고 반문해본 결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모든 재난 대피 훈련 매뉴얼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란 결론에 이르렀다.

즉 학교에 배포된 매뉴얼은 탁상행정의 전형을 보여주는 원론적인 지침서로 현장과는 동떨어진 내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이 두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학교안전 연구대회’를 개최하자. 교사들에게 학교안전 연구를 맡긴다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훌륭한 매뉴얼이 만들어질 것이다. 둘째, 학교안전 시범학교를 지정하자. 이를 통해 단위 학교 실정에 맞는 교사의 역할행동과 학생의 역할수행이 뒷받침될 수 있는 세분화된 과제가 주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한 역할 시연은 각종 재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높일 것이다. 또한 전국의 수많은 교사와 학생은 학교안전 시범학교 견학을 통해 자신의 학교에 맞는 역할 수행을 관찰하고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고 이를 학교 현장에 전파, 각종 재난에 대피할 수 있는 경험과 노하우가 전수될 것이다.

어릴 적 학교에서 안전교육에 소홀하고 안전 문제를 이해하지 못하고 방치된 결과 성인이 되어 안전 불감증에 노출돼 지금 대한민국에서 발생하는 각종 재난에 따른 대응 방안에 허점이 나타나고 있다.

지금부터라도 학교 안전교육을 강화하여 앞으로 닥칠 각종 재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적인 매뉴얼을 개발하고 이를 실천함으로써 다음 세대에는 대한민국의 안전 불감증을 계승하지 말아야 한다.

이정현 | 부여 전자고등학교 교사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