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김종목기자 jomo@kyunghyang.com

ㆍ진보의 진보비판

김헌동 ‘아파트값거품빼기 운동본부’ 단장(사진)은 1997년 대기업 건설회사 간부자리를 박차고 나와 시민운동에 뛰어들었다. 분양원가 공개 등 부동산 문제에 집중, 한국 사회에 ‘토건국가’라는 말을 퍼뜨리기도 했다. 부동산·주택 문제에 관한 한 공공성을 가장 강조하는 진보 활동가다.

김 단장은 “정권에 따라 잣대를 달리하는 진보 진영 시민단체의 이중성이 시민과의 불통을 불러온 가장 큰 요인”이라고 말했다. 김 단장은 “참여정부 때 이헌재 총리가 250개 골프장을 짓겠다고 했을 때 (장외집회 등을 포함한) 반대 운동을 강도 높게 하자고 제안했지만 관련 단체들로부터 별 호응을 얻지 못했다”며 “ ‘반대 논리’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정부에 들어가 있으니까 세게 반대를 못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정권 때 혁신도시다 뉴타운이다 할 때 시민단체의 명망가들이 무얼 했나. 지난 정부 때는 올바르게 견제·감시를 안하고선 지금 와서 한반도대운하나 4대강 살리기에는 거세게 반발하니까 한나라당이나 이명박 대통령 지지자들로부터는 이중잣대라는 지적을 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단장은 “한나라당은 투기조장당, 개발원조당이 분명하지만 그렇다면 민주당은 무엇인가”라면서 “대운하는 반대하면서도 경인운하는 사실상 찬성하니까 보편타당함을 인정받지 못하고 한쪽 논리·주장으로 그치는 것 아니냐”고 했다. “민주노동당도 몇몇 정책에 대해서는 민주노총이나 노조 눈치를 보면서 제대로 된 진보 입법 활동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불통의 언어 문제도 지적했다. “이명박 정부 들어 통과된 법안이 400개 정도이고, 지금 여야가 대치하는 것은 20개밖에 안된다. 통과된 법안은 민주당이 적극 협력한 거 아닌가”라며 “그런데도 무조건 악법이라고 몰아붙이니까 상대도 악다구니가 생기면서 불통 현상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진보언론에 대해 “경향신문이나 한겨레가 진보정당이나 민주당 문제에 대해서 이 대통령, 한나라당을 비판하는 강도만큼 했나”라고 말했다. 진보사회 단체에 대해서도 “지금 한국노총은 한나라당하고 짝짝궁이고, 민주노총은 깃발만 들자고 할 뿐이지 대안·대책이 없다”고 했다. 


단장은 “진보 진영, 시민·사회단체나 민주당 같은 개혁을 내세우는 정당은 10년간 성찰하고 자기반성 과정을 거친 뒤에 이명박 정권에 ‘우리의 과오가 있었는데 당신은 그런 잘못을 되풀이하지 말라’고 권고하고 대화해야 조금이라도 소통이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내가 생각하는 진보는 단순하다. 바로 자기 지식과 시간을 남과 나누는 것”이라면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나눌 수 있다면, 이 대통령과도 한나라당과도 지식과 시간을 나눌 수 있다는 포용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한국 사회의 불통 이유는 언론을 통해 이름 알려진 사람들 중에 중립적 시각을 가진 사람이 없고, 다수의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지식인이 없기 때문”이라며 “선거 때마다, 기회 있을 때마다 편가르는 행위가 벌어져도 말릴 사람이 없다”고 말했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