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선근형기자 ssun@kyunghyang.com
ㆍ“북한·경제문제 등 이념적 잣대로 접근”
보수성향 지식인들의 진보세력 소통방식에 대한 비판은 ‘이념 과잉’으로 집중됐다. 진보진영이 ‘마르크스주의’와 ‘북한 주체사상’ 등 시대착오적인 ‘이념’과 ‘주의’에 몰입한 탓에 대한민국 헌법체계 자체를 부정하려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대중으로부터 외면당한다는 지적이다.
홍진표 시대정신 이사는 “진보 측은 이념에 따라 선과 악으로 구분해놓고 ‘진보는 선, 보수는 악’이라는 접근을 하기 때문에 소통을 하는 데 장애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최진학 전 뉴라이트전국연합 정책실장은 진보진영의 이념적 전제를 지적했다. 최 전 실장은 “우리나라에는 여전히 마르크스주의와 주체사상을 신봉하는 세력이 암세포처럼 건재해 있다”며 “이들은 좌파 이념을 토대로 반시장, 반자유민주주의를 외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미 역사 속으로 사라진 이념을 토대로 21세기 현재를 해석하는 진보세력을 보면서 한국사회의 소통 부재를 뼈저리게 느낀다”고 밝혔다.
보수진영은 특히 친북을 겨냥했다. 김용갑 한나라당 전 의원은 “과거 10년간 우리가 북을 지원해주고 얻은 것은 북한의 핵개발뿐”이라며 “이런 측면에서 진보진영이 대북문제에 대해서는 반성을 많이 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허현준 시대정신 사무국장도 “진보진영은 북한 문제를 기능주의적으로만 보거나 ‘민족’이라는 혈통 개념에서만 접근한다”며 “문제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먼저 깨달아야 소통이 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이념 과잉이 결국 경제·교육 등 각종 정부 정책과 관련된 토론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막는 주범이라는 게 보수 진영의 주장이다.
"부유층의 재산을 빈곤층에게 나눠주자는 주장은 그럴듯하지만 비현실적이다”(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 “계기교육이란 명목으로 북한 주체사상을 학생들에게 가르친다”(최재규 자율교육학부모연대 공동대표), “이명박 정부의 모든 경제정책은 부자를 위한 제도라는 주장만 펼친다”(변철환 전 뉴라이트전국연합 대변인) 등이 대표적인 예들이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 칼럼===== > 한국, 소통합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소통합시다⑦]“개인 영달 위한 사고방식 지양을” (2) | 2009.07.19 |
---|---|
[한국, 소통합시다⑥]진보정당의 고민… 한자릿수 지지율 (0) | 2009.07.16 |
[한국, 소통합시다⑥]김헌동 “정권따라 잣대 달리하는 이중성이 문제죠” (0) | 2009.07.16 |
[한국, 소통합시다⑥]시대변화 따르지 못한 ‘무능함’…갈등 유발하는 ‘편가르기’ (0) | 2009.07.16 |
[한국, 소통합시다⑥]탈피해야 할 ‘친북’ 이미지 (0) | 2009.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