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임제(林悌,
1549~1587). 백호白湖라는 호 또한 유명한 문인입니다.
조선 선조 때 급제해 벼슬길에
나아갔습니다.
그러나 굳이 높은 벼슬아치가 되겠다고 발버둥을 친
적은 없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 시조는 임제가
평안도사平安都事로 부임하던 길에 황진이의 묘를 찾아가 쓴 작품입니다.
청초靑草
우거진 골에 자는다
누었는다
홍안紅顔을 어디 두고 백골白骨만 무쳤느니
잔 잡아 권할 이 없으니 그를
슬퍼하노라
알고 지내던 매력적인 한
여성의 죽음이 얼마나 원통했던지,
그는 이렇게 곡진한 애도의 노래를
불렀습니다.
이에,
아니나 다를까,
논란이 들끓습니다.
기생한테 이런 노래를 부치다니,
양반의 체통을 떨어뜨렸다고.
논란이 일자 임제는 거뜬히 벼슬을 그만두고 맙니다.
벼슬길에서 거뜬히 여행길로 제 갈 길을 바꾼
것입니다.
당대 최고의 교양인이었던 허봉과 성혼으로부터
글재주와 머리를 인정받던 임제는 이제 여행,
시,
술,
기생의 세상에서 살았습니다.
평양 기생 한우寒雨를 유혹하며 부른 노래를 보면 그가 벼슬 밖 세계에서 얼마나 잘살았는지가
그대로 드러납니다.
북창北窓이 맑다커늘 우장雨裝
없이 길을
나니
산에는 눈이
오고 들에는 찬비로다
오늘은 찬비 맞았으니 얼어 잘까
하노라
<해동가요海東歌謠>에 ‘한우가寒雨歌’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는 시조입니다.
초장의 운동감이 중장에서 한층 일렁이다 이윽고
종장에서 구비치는 반전이 거침없습니다.
북쪽으로 난 창문을 내다보니 누군가 ‘맑다’
하기에 비옷도 없이 길을
나섰답니다.
한데 산에는 눈이 내리고 들로 나서고 보니 비가
내립니다.
이 비가 ‘찬비’
곧 ‘한우寒雨’죠.
비옷도 없이 나섰다 찬비[한우]
맞았으니 그대로 얼어 자겠다고
합니다.
얼어 자다...
찬비를 맞은 김에 언 채로
자겠다...
음...
달리 생각지 못하고 그렇게만 읽은 분은 아직
어른[adult]이 아닌 게지요.
동사 ‘얼다’에는 ‘암수 둘이 하나로 어우러지다’는 뜻도 있답니다.
한우가 이 유혹의 노래 앞에서 임제에게 다시 한 번 찬비를 내렸을까요...
아니 ‘더운 비’가 이치에 닿으려나?
아무려나 한세상 잘 놀다 간 이 기남자奇男子에 풍류남아風流男兒께서는,
그의 일생에 견주어 보면 쓸쓸한 느낌이 감도는 말년
일화도 남기고 갔습니다.
예컨대 이익(李瀷,
1681~1763)은 <성호사설星湖僿說>에서 그의 최후를 이렇게 그렸습니다.
[임제가]
병이 들어 죽게 되자
아들들이 슬피 울었다.
이때 임제가
말했다.
“사해의 여러 나라가
황제를 칭하지 않은 데가 없는데,
유독 우리나라만이
예부터 그러지 못했지.
이런 너절한 나라에
태어났으니,
그 죽음을 애석해 할
것 있겠니![生於若此陋邦,
其死何足惜]”
그러고는 곡하지 말도록
명했다.
이익은 이 장면 끝에 임제가 평소 하고 다니던,
한 시대의 우스개로 전해진 임제의 농담을
덧붙였습니다.
“나를 오대육조와 만나게
했다면,
나 또한 돌림천자는
했으리라[若使吾値五代六朝,
亦當爲輪遞天子].”
오대五代는 당나라에서 송나라로 교체되는 시기로 이 사이에
후량後粱,
후당後唐,
후진後晋,
후한後漢,
후주後周
다섯 왕조가 일어났다
스러졌습니다.
육조六朝는 유방이 세운 한나라의 후예인 후한마저 멸망한 뒤,
수나라가 서기까지 강남에서 일어났다 스러진 여섯
왕조,
곧 오吳,
동진東晋,
송宋,
제齊,
양梁,
진陳을 말합니다.
오대나 육조나 모두 교체기이자 혼란기였고 각각 다섯
왕조,
여섯 왕조가 얼마간 섰다가 스러졌으니 그때의
제왕들이란 그야말로 돌림천자[輪遞天子,
‘윤체輪遞’란 ‘돌아가며 번갈아’의 뜻]라 할 만하지요.
다시 임제의 유언으로 돌아가느니 ‘누방陋邦’
두 글자가 삼삼합니다.
누방...
누추한 나라,
대국大國에 견주어 궁벽한 나라,
하필 ‘루陋’
자에 지펴 새기니 ‘너절한 나라.’
그리고 또한 삼삼한 ‘돌림천자.’
기생의 무덤에 부친 노래며,
유혹의 노래 모두 낭만적입니다만 문득
‘너절한 나라’와 ‘돌림천자’
앞에 이르러서는 한 시인이 느낀 답답함이 왈칵
몰려오는 것만 같습니다.
오대와 육조의 역사를 우스개의 밑천으로
쓰는 시인에게 누방의 벼슬이 다 무엇이겠어요.
벼슬이 아무것도 아니어서, 저세상으로
간 여성, 그것도 기생의 무덤에 얼마든지 애도의
노래를 부치고,
눈앞의 기생에게는 찬비에 얼어 자는 낭만을
연출하건만 이런 몸짓마저도 어쩌면 불만과 우울의 저편에 맺힌 거울상이 아니었을까요.
연평도에서 처참한 노릇이 벌어지던 날,
저는 하필이면 임제의,
보다 낭만적인 한시를 뒤지고
있었습니다.
우연히 본 인터넷 속보가 무슨 소린지 짐작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아 자료를 덮은 그날
밤까지,
정보의 진전은 전혀 없이 반복되는 뉴스 앞에서 맥이 다
풀렸습니다.
불질 지나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머릿속에는 ‘누방’
두 글자가 자꾸 ‘너절한 나라’로 영사되는가 하면,
‘돌림천자’의 헛헛한 우스개가 자꾸 불만과 우울로 몸을 나툽니다.
2010년 12월 1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나사못회전이었습니다.
사진: <소화시평小華詩評>의 임제 관련 기록_영인본 재촬영
'=====지난 칼럼===== > 나사못회전의 고전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문따문 고물상] 나무아미타불 (2) | 2010.12.10 |
---|---|
[따문따문 고물상] 그 사람의 낭만 (0) | 2010.12.05 |
[따문따문 고물상] 혜초의 시_나머지 네 수 (0) | 2010.11.09 |
[따문따문 고물상] 쩡하기도, 매콤하기도 (0) | 2010.11.03 |
[따문따문 고물상] 고향, 고통뿐인 고향 (2) | 2010.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