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제올림픽위원 회(IOC)가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과 2020년 도쿄하계올림픽 일부 종목의 교류 개최를 추진하는 모양이다. 1988년 서울하계올림픽과 1998년 나가노동계올림픽을 각각 치른 양국이 일부 종목의 개최지를 서로 바꿔 대회 비용을 줄이고 낭비를 막자는 취지라고 한다. 그제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이 그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양국 체육계와 개최지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결론부터 말한다면 올림픽의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개최는 매우 바람직한 일로서 적극 검토할 만한 방안이다. 가뜩이나 최근 올림픽은 천문학적인 개최 비용은 물론 사후 활용성이 떨어지는 경기장과 시설 문제 등으로 개최지에 큰 부담과 후유증을 안기는 행사라는 비판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2022년 동계올림픽에서 노르웨이 오슬로가 유치를 포기한 것도 그런 이유다. IOC가 이번 모나코 총회에서 올림픽 유치 과정 간소화와 도시·국가 간 올림픽 분산 개최, 올림픽 종목 탄력 채택 등 강도 높은 개혁안을 담은 ‘아젠다 2020’을 채택하려는 배경과도 직결된다고 하겠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봅슬레이·루지·스켈레톤 경기장으로 사용될 슬라이딩센터 공사가 8일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알펜시아 리조트에서 한창 진행되고 있다. _ 연합뉴스


현재 IOC가 분산 개최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지는 종목은 썰매 경기다. 평창에서는 루지·봅슬레이·스켈레톤 경기장인 알펜시아 슬라이딩 센터가 건설되고 있지만 예산과 공사지연 문제, 불법 벌목 시비, 사후 활용방안 논란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신축 비용 1228억원 가운데 국비가 921억원이고, 강원도가 307억원을 부담한다고 한다. 나가노 스파이럴 복합경기장을 이용하면 당장 들어가는 이런 목돈은 물론 대회 후 연간 수십억원에 이른다는 유지비를 부담할 필요가 없게 된다.

강원도와 평창은 IOC의 제안에 강하게 반발하는 모습이다. 이미 신설 경기장 6곳을 모두 착공한 상태인 만큼 대회 준비와 사후 활용 방안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게 그 이유라고 한다. 일본과 나눠서 개최하는 것은 국민정서에도 맞지 않다는 점도 들고 있다. 이해하지 못할 바는 아니지만 대국적인 견지에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 IOC의 제안을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으로도 지속가능한 올림픽을 치르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이를테면 IOC가 썰매 경기장 분산 개최의 취지대로라면 스키활강경기에서 ‘투런(2Run) 규정’을 허용하지 못할 까닭이 없다. 단 3일 경기를 위해 500년 된 원시림을 파괴해야 하는 가리왕산 스키활강경기장도 대안을 찾는 게 가능해지는 셈이다. 평창의 진정한 성공은 친환경 동계올림픽의 선례를 만드는 것이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