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4·11 총선 패배의 치유책을 모색하는 민주통합당의 대응이 여전히 실망스럽다. 선거 직후 봇물을 이룰 것 같던 자성론은 한명숙 대표의 사퇴와 함께 자취를 감췄다. 겸허하게 민심을 수용하겠다면서 ‘대오각성’이니 ‘환골탈태’니 운위하던 위기감은 벌써 옛일이 돼 버린 분위기다. 민주당이 진정 패배를 충격으로 받아들이고, 극복하려는 의지를 다지는 것인지 의심스러울 지경이다.



민주통합당 당사에서 열린 선거대책본부 해단식 (경향신문DB)



민주당이 주말 내내 임시 지도체제를 놓고 벌인 논란은 위기의 본질과 거리가 한참 멀다. 대안부재론에 따른 직무대행 체제냐, 공동책임론에 의한 비대위 체제냐는 다툼은 ‘친노’와 ‘비노’의 대결로 비쳐질 뿐이다. 이번 총선 패배가 친노의 독주와 전횡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많지만 그렇다고 임시 지도체제로 세력 대결을 벌인다는 건 또 다른 파워게임에 불과하다. 이런 와중에 일부 인사들이 총선 결과를 합리화하려는 기류도 엿보인다. 부산에서 정당의 비례대표 득표율이 40%를 돌파했다거나 야권의 전체 득표율이 새누리당을 앞선다는 식의 해석이 그것이다. 지난해 무상급식에 대한 찬반을 묻는 서울시장 선거 직후 당시 한나라당 대표가 사실상 한나라당이 승리했다는 분석을 내놓았던 때를 연상시킨다. 선거 결과는 민심을 읽는 중요한 자료다. 그러나 아전인수식 해석이 가미된다면 그건 조작된 통계나 하등 다를 바 없다.


민주당은 30대의 이반부터 되새겨볼 일이다. 방송 3사 출구조사에서 나타난 30대 투표율은 41.8%로 20대보다 3.2%포인트 낮았다. 20대 투표율이 18대 총선 28.1%에서 무려 16.9%포인트나 늘어난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그동안 민주당 지지가 가장 공고하다는 평가를 받은 30대의 이반은 그냥 넘길 수 없는 대목이다. 실제 투표하러 나온 30대는 53.5%가 민주당을 지지했고, 새누리당 지지도는 26.2%에 머물러 전 연령대에서 가장 낮았다. 민주당으로선 30대의 입장에서 정책과 공천, 캠페인이라는 선거의 3대 요인에 숨겨진 패인을 냉철하게 분석한다면 막막한 현실을 진단하는 하나의 단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국민들은 드러난 결과보다 그 과정에서 혼신의 힘을 다하는 자세나 태도에 더 마음을 준다. 진정한 거듭남이 없는 새틀짜기라면 대개는 어떤 체제가 들어서든, 누가 얼굴이 되든 시쳇말로 ‘그 나물에 그 밥’으로 비쳐지는 이유다. 고름을 완전히 제거해야 새살이 돋듯 뼈를 깎는 심정으로 패인부터 찾아내고 도려내야 한다. 고민의 깊이가 깊을수록, 그 결실로 나오는 울림도 가슴에 더 와닿지 않겠는가.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