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평창 동계올림픽이 25일 열린 폐회식으로 17일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미래의 물결(Next Wave)’을 주제로 한 폐회식에선 남북 선수단이 태극기와 인공기, 한반도기를 흔들며 입장했다. 2022년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중국 베이징의 차기 개최도시 공연도 펼쳐졌다. 한국이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30년 만에 다시 치른 평창 올림픽은 스포츠를 통해 대립과 반목, 갈등을 녹여냈다. ‘평화올림픽’의 새 지평을 연 성공적인 대회로 평가할 만하다.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가운데)이 25일 평창올림픽 폐회식에서 중국 류자위(스노보드), 미국 린지 본(스키), 북한 렴대옥(피겨), 윤성빈(스켈레톤), 나이지리아 세운 아디군(봅슬레이), 일본 고다이라 나오(스피드스케이팅·왼쪽부터)와 손가락 하트를 그려보이고 있다. 평창 _ 연합뉴스

평창 올림픽에 이르는 길은 순탄하지 않았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계속됐던 터라 올림픽이 제대로 치러질 수 있겠느냐는 의문이 끊임없이 제기됐다. 일부 국가는 대회 참가를 망설였고,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구성을 놓고도 진통을 겪었다. 하지만 사상 최대 규모인 92개국 2900여명의 선수들이 참가한 평창 올림픽은 인류의 화합과 평화를 다진 스포츠제전이 됐다. 개회식 때 남북한이 한반도기를 들고 함께 입장하는 장면은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과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방남은 남북관계 개선의 물꼬를 텄다. 대회 운영도 나무랄 데 없었다. 외신들도 “흠잡을 것 없는 게 흠”이라고 호평했다. 입장권 판매율은 목표치를 웃돌았고, 경기장을 찾은 관람객은 133만여명에 달했다. 자원봉사자 1만6000여명의 헌신적인 희생과 노력은 매끄러운 대회 진행의 밑거름이 됐다.

평창 올림픽의 주역은 도전과 열정, 눈물이란 각본 없는 드라마를 쓴 선수들이다. 각국 대표선수들은 4년간 담금질한 기량을 펼치기 위해 전력을 다했다. 한국 선수단은 금메달 5개, 은메달 8개, 동메달 4개로 동계올림픽 사상 최다 메달을 수확하며 종합 7위에 올랐다. 최선을 다한 값진 성과다. 빙속 여자 500m 경기 뒤 이상화와 일본의 고다이라 나오가 보여준 배려와 존중, 스켈레톤 1인자로 올라선 윤성빈의 불굴의 집념, 4개 종목에 출전하며 3만7400m를 질주한 ‘철인 레이서’ 이승훈의 투혼은 벅찬 감동을 안겨줬다. ‘영미 중독’ ‘갈릭 걸스’ 등의 신조어를 만들어낸 여자 컬링팀과 아시아 첫 은메달을 딴 봅슬레이 4인승팀은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기적을 일궈냈다.

평창 올림픽은 막을 내렸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무엇보다 화려한 축제 뒤에 막대한 빚을 떠안는 ‘올림픽의 저주’에 빠지지 않아야 한다. 역대 동계올림픽 가운데 ‘남는 장사’를 한 것은 1994년 릴레함메르 대회가 유일하다. 평창 올림픽에 투입된 예산은 13조7000억원에 달하고, 시설 유지비만 연간 1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정부와 강원도는 올림픽 경기장과 시설이 애물단지가 되지 않도록 지혜와 역량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남북 스포츠 교류도 활성화해야 한다. 평창 올림픽에서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은 ‘작은 통일’의 감격을 누릴 수 있게 했다. 최문순 강원도지사가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 남북 개최 검토를 발표하고, 장웅 북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이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호응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국가대표로 발탁된 19명의 귀화선수를 지원해 국내 동계스포츠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도 필요하다.

올림픽의 성화는 꺼졌고, 축제는 끝났다. 평창이 지핀 인류 평화와 화해의 불씨가 전 세계로 퍼져 나가길 기대한다. 평창 올림픽이 열린 17일간 우리 시민들은 참으로 즐겁고 행복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