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3년 만에 국내에서 다시 발생했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늑장대응과 안이한 처리로 186명이 감염돼 이 중 38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벌어졌다. 당시 극도의 공포 속에 1만6752명이 격리조치되는 등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에 큰 지장이 생기며 경제도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정부의 위기 관리 능력이 다시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질병관리본부(이하 질본)는 쿠웨이트에서 귀국한 60대 남성이 지난 8일 메르스 확진을 받은 이후 9일 현재까지 항공기 승무원과 의료진, 택시기사 등 22명의 밀접접촉자를 자택격리했다. 환자와 동승한 항공기 승객 등 일상접촉자 439명은 전담 공무원을 배치해 관리토록 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늑장대응보다 과잉대응이 낫다”며 철저한 대응과 함께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지시했다.

9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환자가 격리 치료 중인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의 응급의료센터 출입문에 메르스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국내 메르스 확진 환자 발생은 3년여 만이다. 강윤중 기자

제2의 메르스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초동 대응이 중요한데, 일단은 3년 전에 비해 상황은 낫다. 질본이 메르스 확진 사실을 공개한 시점이 지난 8일 오후 6시30분쯤으로 해당 환자의 귀국 후 27시간을 넘기지 않았다. 2015년 첫 환자가 입국 후 확진 판정을 받기까지 보름이 걸린 것에 비하면 그나마 다행이다. 환자가 처음 방문한 의료기관인 서울삼성병원도 곧바로 격리병동에 입원시켜 검사를 실시했다. 3년 전 이 병원이 의심환자를 공동 병실에 방치했다가 감염환자가 폭증했던 것과 비교하면 진전된 대응이다.

그럼에도 환자가 공항 검역을 그대로 통과한 것은 문제다. 질본은 환자가 고열이나 호흡기 증상 등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쿠웨이트 현지에서 설사로 의료기관까지 방문했던 환자에 대해 좀 더 의심을 갖고 세밀한 검사를 실시해야 했다. 메르스가 낙타 접촉으로 발생한다지만 실제로는 의료기관에서 전염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환자 스스로 병원을 찾지 않고 일상생활에 그대로 복귀했다면 이후 무슨 일이 벌어졌을지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환자는 공항에서 택시를 타고 병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2시간30분가량 일상에 노출됐다. 질본은 택시기사를 뒤늦게 격리조치했지만 이후 해당 택시에 탄 승객들도 추적·관리해야 한다. 민족의 대이동이 벌어지는 추석이 2주 앞이다. 정부는 그 전까지 확실하게 메르스 확산을 저지한다는 목표로 의료기관 등과 최대한 협조해 2차 감염을 막아야 한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