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터넷 시대를 살면서 지금까지 두 번 놀랐다. 한 번은 20년 전의 네이버 지식인. 그리고 요즘의 유튜브. 어느덧 네이버 시대는 저물고 이제는 ‘유튜브 시대’라는 얘기는 심심찮게 들었지만 이제야 그걸 제대로 실감하는 중이다.

우연히 유튜브로 ‘씽씽’을 본 것이 일주일 전. 놀라워라. 한창 때의 글램록을 연상시키는 여장 남자 둘과 여성 보컬이 분명 타령조의 민요를 부르고 있었다. 내 눈과 귀는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신세계를 만난 듯 좋아했다. 우리나라 민요가 이렇게 펑키하고 사이키델릭하게 들릴 수 있다니…. 우리 민요가 해학과 정제미마저 갖춘 ‘솔 음악’ 혹은 월드뮤직으로 업그레이드가 된 느낌이었다. 이름하여 민요록 밴드 씽씽(Ssing Ssing)이라 불리는 6인조 밴드였는데, 유튜브에 씽씽이라고 치면 제일 먼저 나오는 15분짜리 라이브 동영상의 조회수가 이미 200만을 훌쩍 넘었다.

록밴드 ‘씽씽’(Ssing Ssing) NPR 홈페이지

내친김에 인기 동영상 카테고리에 있는 ‘저스트 절크’라는 댄스팀 동영상도 봤다. 세상에 뭐 이런 기막힌 춤이 다 있다니…. 평창 올림픽 개회식에서 보고 놀라긴 했지만 이 정도인지는 몰랐다. 감탄이 절로 나오다가 어떤 부분에서는 기가 막혀 감탄사조차 잘 안 나왔다. 믿기지 않는다. 도대체 얼마나 고통스럽게 오래도록 연습했을까? 그 시간을 벌기 위해, 그 안무를 짜기 위해, 그 합을 만들기 위해 얼마나 애를 썼을까? 유튜브 동영상을 보고 있는 것만으로도 그런 생각이 절로 들기에 문득 감동받고 숙연해지는 춤이라고 할까? 맞다, 한마디로 레벨이 다른 춤이었다.

그러다 문득 깨달았다. 어느새 내 생활의 중심에 유튜브가 있다는 사실을. 집에 텔레비전이 없기에 언젠가부터 뉴스를, 주로 설거지를 하며, 유튜브로 듣게 된 나. 잡다한 살림의 잔기술을 대부분 유튜브에서 배우는 나. 검색, 무료 영화 감상, 영어 공부는 물론 패티 스미스나 레이먼드 카버의 오디오북을 유튜브에서 찾아 듣고 있으니 심지어 독서조차도 아이러니하게도 유튜브 동영상으로 하고 있는 셈이다.

유튜브는 놀랍거나 신기하거나 재미난 시청각적 오락거리만 제공하는 게 아니다. 예전에는 궁금한 게 있으면 포털사이트 검색창을 이용하거나 네이버 지식인을 찾아봤지만 지금은 검색도, 과외 공부도, 취미 생활도, 자기 계발도 유튜브로 하는 세상이 됐다.

검색시장에서 유일하게 구글을 꺾은 한국이었지만 지금은 국내 포털 중 어느 것도 유튜브에게 ‘턱도 없는’ 시대가 됐다. 유튜브의 위세가 어느 정도인가 하면, 전 세계인 4명 중 1명이 유튜브 영상을 보는 등 유튜브 이용시간은 점점 압도적으로 길어지는 가운데 한국의 경우 네이버보다 유튜브 이용 시간이 무려 2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 됐다. 당연히 광고주들도 유튜브로 몰려든다. 유튜브의 동영상 광고 같은 경우 네이버와 다음을 합친 것보다 3배가량 높다. 그러다보니 ‘갓튜브(GodTube)’ ‘유튜브(YouTube) 쇼크’ 같은 말들도 생겨났다.

나만 해도 네이버를 이용하는 시간이 점점 줄고 있다. 며칠에 한 번 잠깐 사용하는 네이버 메일, 그 편리성과 포인트 누적 때문에 인터넷 쇼핑할 때마다 어쩔 수 없이 사용하게 되는 네이버 페이가 전부다. 예전에는 네이버와 함께 하루 업무를 시작하고, 무엇이든 네이버에게 물어보고, 오랫동안 네이버 블로그 페이지에 머물며 함께 놀고 먹고 공감하며 기꺼이 시간을 보내는 일이 많았지만 이젠 아니다. 텍스트 뉴스가 보고 싶을 때는 ‘그게 그거지만 그나마 낫다’는 생각에 다음에서 챙겨 보고, 검색은 구글·유튜브를 이용한다. ‘네이버 맛집’이라면 대놓고 불신하는 지경에 이르러 네이버 블로그 광고에 나오지 않은 식당만 골라서 다닐 정도다.

네이버는 이렇게 조금씩 사용자의 신뢰감을 잃었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사이 스마트폰 시장과 함께 성장한 유튜브가 텍스트만으로는 부족했던 검색의 한계를 극복하며 새로운 황제로 등극했고. 물론 그 이면에는 유튜브의 망 사용료 면제와 조세 회피, 불공정하게 계약된 광고 시간(유튜브 5초, 네이버 15초)에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그게 다는 아닐 것이다. 스스로 자초한 신뢰도 및 콘텐츠 질의 하락, 기득권의 정치적 영향력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네이버와 카카오 같은 국내 플랫폼들이 함께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문제가 아닌가 싶다. 유튜브 시대를 맞아 유튜브만 탓할 게 아니란 말이다.

아주 오래전부터 우리가 함께 전망하고 고대하던 ‘방송국 시대’가 이제 진정 도래한 것인가? 조중동보다 더 막강했던 네이버 독식 시대를 지나 한결 개인의 힘이 커진 유튜브 시대가 된 오늘에서야 난 무언가 확실히 바뀌었고 그 변화는 결코 거스를 수 없는 것임을 느끼고 있다. 시대의 변화. 그것은 비록 느리고 더뎌 잘 보이지도, 느껴지지도 않지만 어느덧 훌쩍 커버린 신(God)과 괴물 그 사이의 무언가와 같다고 느끼는 요즘이다.

<김경 칼럼니스트>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