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나는 ‘헤딩’을 하는 게 늘 두려웠다. 성인남자 평균 신장에 조금 못 미치고 일찍 안경까지 쓰는 바람에, 마음 같아서는 98 프랑스 월드컵 때 ‘헤딩’으로만 브라질 골문을 두 번이나 흔들어버린 지단처럼 해보고 싶었지만, 동네축구에서는 조금 한가로운 좌우 외곽에서 ‘센터링’을 올리는 데 집중했다.

그럼에도, 나의 ‘센터링’이 멋진 포물선을 그리며 골문으로 집중되고 동료 선수가 온몸을 뒤틀어 ‘헤딩 슛’을 터트리는 광경! 아름다웠다.

그런데 요즘 들어 이 용어들은 ‘헤더’와 ‘크로스’로 변했다. 머리로 패스를 하거나 슛을 하는 것은 이제 헤딩(heading)이 아니라 헤더(header)다. 오랫동안 사용되던 센터링이나 핸들링도 ‘잘못된 일본식 영어’(재플리시)로 간주되어 크로스나 핸드볼 파울로 변했다. 문법적으로 좀 더 예민한 사람은 헤딩 패스 대신 헤디드(headed) 패스가 맞다고 강조한다. 솔직히 ‘느낌적 느낌’으로는 헤더가 헤딩 같지는 않다. ‘자장면’은 ‘짜장면’이어야 하는 것처럼, 헤딩은 거칠고 메마른 운동장에서 온몸을 던지던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를 떠올리게 한다. 반면 헤더는 세련된 기술처럼 들린다.

일러스트_김상민 기자

그럼에도 가능하다면 용어의 ‘새로 고침’은 앞으로도 꾸준히 진행되어야 한다. ‘오렌지’를 ‘어륀지’라고 부르자는 ‘발음 사대주의’라면, 굳이 그럴 필요가 있는가 하고 무시해도 좋지만, 스포츠는 일정한 제도와 규칙의 ‘세계적 약속’이다. 세대 간의 언어 감각도 다를 수 있다. 컴퓨터로 축구 게임을 하며 유럽 축구에 몰두한 세대가 벌써 30~40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에게 ‘헤더’나 ‘크로스’는 낯선 용어가 아니다.

각 종목의 전술 변화에 의해 새 용어가 등장하기도 한다. 요즘 축구 중계에서 흔히 듣는 용어가 ‘빌드업’이다. 2002 한·일 월드컵 이후 차범근 해설위원은 ‘공격 작업’이라는 표현을 썼는데, 한동안 이 용어가 정착되는 듯하다가 요즘은 ‘빌드업’으로 통일되고 있다. 이는 ‘공격 작업’의 원어가 ‘빌드업’에 가까운 면도 있지만, 몇 해 사이에 펩 과르디올라와 위르겐 클롭으로 대표되는 ‘점유율과 빌드업’의 전술 관계에 의하여 ‘빌드업’이 의미 있는 용어로 부각되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골키퍼를 포함한 최후방에서 골을 넣을 수 있는 최전방까지 의미 있게 연결되는 복잡한 공격 과정을 가리킬 때, ‘빌드업’을 쓰는 게 맞다.

11월26일, 한국체육기자연맹이 주관한 ‘바람직한 스포츠 용어 정착을 위한 스포츠미디어 포럼’에서도 이와 관련한 주장이 의미 있게 제기되었다. ‘파이팅’ 같은 말이 일제 군국주의의 잔재라는 점을 들어 ‘아자’ ‘힘내자’ 같은 말로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시합’ ‘계주’ ‘기라성’ 같은 일본식 조어도 ‘경기’ ‘이어달리기’ ‘쟁쟁한’ 등으로 바꾸자는 의견이다.

부분적으로 동의한다. 고쳐 쓸 수 있다면 고쳐야 한다.

그러나 ‘파이팅’이 비록 일제 시대 용어이기는 해도, 해방 이후 수십 년 동안 그 말에 다른 의미를 충분히 덧붙여 집합적 감수성을 녹아낸 것이라면 그 나름의 무게가 있다. 문법으로도 틀리다고 하면, 영어 쓰는 사람들에게 우리는 이런 의미로 ‘파이팅’을 외친다고 하면 될 일이다. 선수들이나 일반 회사에서나 ‘파이팅’을 ‘적군 섬멸’의 뜻으로 쓰는 사람은 없다. 이를 ‘아자’ 혹은 ‘으랏차차’라고 부르면 좋겠으나 언어 행위는 시간의 적층 위에서 생성/공유되는 것이다.

‘기라성’처럼 단지 밤하늘의 수많은 별을 뜻하는 ‘일본식 조어’라는 의미에서 바꿔야 한다면, 근대 이후 우리 학문과 일상에 녹아 있는 거의 모든 생활 언어를 조선시대로 돌려야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어쩌면 ‘고유한 우리말’ 중의 어떤 것은 생활 조건의 측면에서 ‘농업 봉건’의 산물일 가능성이 더 크다. 일제강점기가 아니더라도 사멸했거나 변화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 제기가 의미 없는 것은 아니다. 끝없이 이의를 제기하고, 토론과 활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좀 더 알맞은 용어를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그날의 심포지엄과 직접적 관련은 없지만, 일제 잔재의 청산은 ‘일본식 조어’를 개선하는 정도가 아니라, 오랜 식민 피지배와 그 이후의 독재 과정에서 내면화된 사회의 작동 방식 자체를 문제 삼는 일이다. 약육강식과 기회주의가 거의 유일한 생존 방식 아니었던가. 이 점에 있어 스포츠는 전혀 자유롭지 않다. 폭력과 위계질서가 내면화된 일상 말이다.

내친김에 덧붙이자면, 천편일률적인 묘사나 동시대의 감수성을 전혀 따라가지 못하는 기사가 일본식 조어보다 더 문제적이다.

‘자로 잰 듯한 패스’나 ‘전광석화 같은 중거리슛’은 복잡하고 미묘한 경기를 딱 그 정도로만 보았음을 말해주며 ‘국위선양’이나 ‘태극전사’ 혹은 ‘맏형 리더십’은, 조금 과장해서 말하자면 여전히 스포츠 미디어가 ‘독재의 잔재’인 국가주의와 가족주의에 머물러 있음을 말해준다. ‘비치발리볼’을 인터넷으로 검색해 보라. ‘섹시 화끈한 비치발리볼 경기’ ‘뜨겁게 달군 노출 패션 비치 발리볼’ ‘눈요기 여름스포츠 비치발리볼’ 같은 제목의 기사들이 줄줄이 나온다. 전반적으로 보면, 급변하는 인터넷 언론 환경 때문인지, 스포츠계의 폐부를 날카롭게 파고드는 탐사 기사나 심층 진단 시리즈가 줄고 개인 블로그를 쓰는 듯한 ‘팬심 기사’가 넘쳐나는 것도 큰 문제다.

어쩌면 문제의 핵심은, 오래전에 우리를 강점했던 일본이나 그 잔재 용어들이 아닐 수도 있다. 21세기의 중엽을 향해가는 지금에도, 일제와 독재가 강제한 생존 조건을 벗어나지 못한 스포츠 현실에서 국가주의적, 남성적, 신체적 우월성의 신화에 갇혀 틀에 박힌 시선과 진부한 표현을 반복하고 있는 우리 스포츠언론의 현 상태가 더 문제다.

<정윤수 | 스포츠평론가·성공회대 교수>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