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원한 500명의 대학생이 한 학기에 한 권의 고전을 함께 읽는다. 이번 학기의 고전은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이다. 이해를 돕기 위한 특강, 전문가 해설과 함께하는 영화 상영이 기획되고, 자발적 세미나와 원문 강독 모임에 전문 인력과 진행 경비가 지원된다. 아우슈비츠는 물론, 캄보디아와 베트남, 제주도와 서대문형무소, 그리고 ‘위안부’ 역사관 등을 찾아서, ‘악의 평범성’이 역사가 되어 버린 현장을 발과 눈으로 확인한다. 책의 내용과 현장 경험을 창의적으로 발전시킨 소감문을 시상하고 공유한다. 정규 수업으로 개설하기 힘든 산스크리트, 라틴어 등의 도구언어 학습반과 연 50여 종의 동서양 고전 강독반이 진행된다. 소수라도 원하는 학생이 있으면 전문가를 붙여주는 방식이다. 교수와 대학원생, 학부생이 함께하는 랩을 만들고 학업지원금을 지급하며 차근차근 인문학 후속세대를 키워간다. 글로벌 지역문화 이해와 다양한 융합전공의 기반으로서 인문학이 지닌 가능성을 배가하기 위해 교육과정 개편과 해외 연수, 전문가 특강, 인턴십 등이 다채롭게 진행된다. 인문학 교수들이 교도소와 병원, 지역 문화원과 기업체로 찾아가고 중·고등학생과 지역주민을 대학교로 초청해서, 품격 있는 인문학 강연을 진행한다.

일러스트_김상민 기자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CORE)’의 일환으로 한 대학교에서 진행 중인 프로그램의 일부다. 전국 19개 대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과 대중화 사업들은,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하고 창의적이다. 당초 약속대로 이 사업이 10년 동안 정상적으로 지속되면 인문학의 육성은 물론, 인문적 상상력을 지닌 융합인재와 글로벌 지역전문가의 배출, 나아가 국가의 미래 경쟁력 확보에 가시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대학재정 지원 사업 개편에 의해 이 사업은 3년차로 중단된다. 지역학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편한 학과들은 파행을 막을 길이 막막하다. 인문기반 융합전공에서 진로를 모색하던 학생들은 모처럼의 동력을 잃게 되었다. 미래의 인문학자가 되기로 마음먹은 학생들이 학교와 국가를 상대로 가지게 될 허망한 배신감을 생각하면, 처참할 뿐이다. 약속의 파기는 개인 간에도 심각한 문제다. 백년대계를 두고 국가가 한 약속은 더욱 중대하게 다루어져야 마땅하다. 후속 사업이 절실하다.

<송혁기 |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일반 칼럼 > 송혁기의 책상물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의 이름으로  (0) 2018.03.14
봄날의 소망  (0) 2018.02.28
[송혁기의 책상물림]당당함의 무게  (0) 2018.01.31
해를 보고 짖는 개  (0) 2018.01.17
소를 타는 즐거움  (0) 2017.12.20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