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유미기자 youme@kyunghyang.com  

윤여준 한국지방발전연구원 이사장,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는 한국 사회의 소통장애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진단하고, 소통을 위해 한국 사회에 만연한 배제와 억압의 질서를 깨고 차이를 관용하며 서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향신문 특별기획 ‘분열하고 막힌 한국, 소통합시다’의 자문위원인 박 이사, 신 교수, 윤 이사장은 지난달 18일 첫 자문위원 회의에서 이 같은 견해를 밝혔다.

 

박원순 상임이사
박 이사는 “어느 사회나 보수와 진보의 극단이 있지만 우리는 양극으로 너무 많이 치우쳐 있다”면서 “이념을 떠나 국정과제를 발굴해야 하고, 보수와 진보 모두 대중과 소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데 여전히 부족하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소통은 ‘인체의 혈액’이며 사회언어이기 때문에 소통이 안 된다는 것은 극히 비정상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이어 “모두 서로의 이해관계에만 매몰돼 양보하고 변화하겠다는 의지가 없다”면서 “다수결이 민주주의 원칙이지만, 가진 사람이 먼저 열고 변해야 소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윤여준 이사장


윤 이사장은 “소통하기보다 배제하고, 억압하려는 질서가 한국 사회를 지배해왔다”고 지적했다. 윤 이사장은 “소통장애는 해방 이후 좌우익 대결, 분단, 민주 대 반민주 구도 등 현대사의 이데올로기, 대결상황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이 때문에 서로 다름과 차이를 인정하지 않은 채 갈등하고, 이것이 소통부재를 낳고, 이는 다시 갈등을 유발하는 일이 되풀이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이사는 “보수와 진보 모두 국민의 신뢰를 받으려면 현장에서 대중과 소통하려 노력해야 하고, 책상에서 진리를 찾는 것보다 서로 머리를 맞대고 소통해야 훨씬 좋은 결론, 바른 진실에 도달할 수 있다”면서 “합리적이고 균형 잡힌 세력이 중심에 많이 포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영복 교수
세 사람은 한국 사회의 소통장애에 대해 이명박 정부의 책임론도 제기했다. 신 교수는 “이명박 정부와 여당의 정치철학이나 운영방식을 보면 과거 회귀적이라는 생각을 금할 수 없다”며 “한국이 변화된 질서를 수용하지 않고 강한 정부, 지도적인 정부로 돌아간다면 결과적으로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 이사는 “국가권력이 중립을 지키지 않고 특정 계층·정파에 기울면 민주시민과의 신뢰가 깨진다”면서 “소통과정을 거친 결론은 힘을 가질 수 있지만 소통 채널을 무시하면 그 어떤 진리나 정당성도 갖기 어렵다”고 밝혔다.

윤 이사장도 “집권당이 대통령과 행정부에 대한 견제와 협력의 원칙이나 기준도 없이 갈팡질팡하고 있다”며 “집권당이 시민과 국가의 매개역할을 못하기 때문에 국민의 신뢰를 잃고 있다”고 말했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