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호준·이청솔기자 hjlee@kyunghyang.com
ㆍ당원 70% “밀어붙이기 국정”일방적 계몽을 소통이라 착각
지난해 11월 한나라당은 ‘국민소통위원회’를 설치했다. 촛불정국 이후 흩어진 민심을 추스르기 위해 국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는 뜻이라고 했다. 위원장을 맡은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틀어 국민과 한나라당, 정부를 잇는 소통의 창구가 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반년이 지난 현재 한나라당의 소통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촛불정국과 조문정국을 지나면서 폭락한 지지율은 야당과 엎치락뒤치락을 반복하고 있고, 지난 4·29 재·보선에서는 전패의 수모를 겪으며 쇄신특위까지 꾸리는 등 내홍을 겪고 있다.
10년 만의 정권 재창출에 이어 18대 총선에서 172석이라는 초거대 여당을 탄생시킨 지 불과 1년여 만이다.
지난달 한나라당이 책임당원 64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조차 당원의 70.4%가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을 한다’고 답했고, ‘부유층 중심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응답도 63.3%나 됐다.
회사원 조모씨(33)는 “쇠고기협상, 미디어법, 대운하, 부자감세 등 한나라당이 추진하고 있는 정책들을 보면 많은 사람들이 반대하더라도 밀어붙이면 된다는 식 아니냐”라면서 “민심이다 뭐다 하지만 어떻게 보면 보수정당은 소통이 필요한 게 아니고 소통을 하고 있다는 쇼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변철환 민생경제정책연구소 상임이사도 “국민들이 대선 때 민생을 살려달라고 했고, 대통령도 대선 내내 경제만은 살리겠다 했다. 그러나 갑자기 경제를 살리고 민생을 돌볼 생각은 않고 이해가 안되는 정책들이 많이 나왔다”면서 “한나라당이 주도가 돼서 강남 3구의 규제를 푼다, 전반적인 대책없이 종부세를 푼다든가 하는 것은 국민들이 볼 때 부자정부가 아니냐는 오해를 할 만했다”고 말했다.
명지대 신율 교수는 “소통은 작용·반작용을 통해 이뤄지는 것인데 우리사회 보수정당이 생각하는 소통은 계몽이고, 일방적인 계몽을 잘 따르는 게 소통이 잘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국민들을 어리석고 가르쳐야 할 대상으로 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다보니 “미디어법 같은 중요사안에 대한 여론조사를 두고 ‘전문가들도 모르는데 일반 국민들이 어떻게 알겠느냐’는 식의 반응이 나온다”는 설명이다.
한신대 윤평중 교수는 “대의민주주의에서는 국민 다수가 원하는 것을 정책에 반영해 현실적인 삶과 접목시켜야 하는데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우리사회의 제도권 정치세력들은 이 대의기능이 굉장히 취약하다”고 지적하면서 “특히 여당의 경우 정책들을 끌고 나가는데 있어 국민 다수가 원하는 바가 아닌 것들을 억지에 가깝게 설정해서 밀어붙이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 칼럼===== > 한국, 소통합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소통합시다⑧]정부·여당 언어는 ‘악마화’ 하는 언어 (0) | 2009.07.24 |
---|---|
[한국, 소통합시다⑦](7)보수는 왜 소통에 실패하고 있나 (2) | 2009.07.19 |
[한국, 소통합시다⑦]“노블레스 오블리주 부족, 견해 다르면 ‘빨갱이’ 낙인” (2) | 2009.07.19 |
[한국, 소통합시다⑦]“한국의 보수는 원칙·도덕성·일관성을 잃었다” (15) | 2009.07.19 |
[한국, 소통합시다⑦]공동체 가치보다 기득권에 안주 낡은 이념 덫에서 헤어나지 못해 (0) | 2009.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