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ㆍ물꼬 튼 ‘소통 담론’… 지역·세대·종교까지 영역 넓히자
조흡 동국대 교수
소통문제의 핵심은 제도와 소통 주체의 상호관계로 접근하는 것이어야 할 텐데, 경향의 소통 기획은 대부분 개인의 소통역량에 집중된 듯하다. 그 결과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소통의 문제, 즉 사회적 갈등은 얼마든지 개인의 역량에 따라 해결될 수 있는 문제로 오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민주적 사회제도나 개인의 소통 역량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이므로,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불통의 문제를 이해하고 대안을 찾는 방법 또한 두 변수의 상호관계를 좀더 파헤치는 과정에서 찾아봤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있다.
오로지 정치영역에서만 민주적인 소통이 가능할 것으로, 또는 가능해야 하는 것으로 전제하는 것은 무리다. 더딘 방법이지만 우리 일상생활의 영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모든 사회적 관계의 소통구조를 더욱 쌍방향적이며 민주적인 것으로 바꿔나가도록 부단히 훈련해야 한다. 부모와 자식의 관계에서, 남녀 관계에서, 그리고 선생과 학생, 의사와 환자, 상사와 부하의 관계에서 어느 한 쪽에 힘이 상대적으로 쏠려있어 소통의 방향이 치우칠 수밖에 없겠지만, 그런 권력 관계의 변수 내에서도 더욱 평등한 소통의 연습이 또다시 체화된다면 오늘날 정치영역과 노사 관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고조된 갈등도 어느 정도 약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갈등’을 소통의 출발점으로 봐야
김호기 연세대 교수
중립지대사람들 설득시키기도 중요
이상돈 중앙대 교수
사실 압도하는 가치판단의 과잉을 삼가야
윤평중 한신대 교수
박효종 서울대 교수
소통은 일회성으로 끝나기보다는 지속적으로 추구할 만한 주제라는 생각이 든다. 소통의 영역도 이념·정치·사회·경제뿐만 아니라, 지역·남녀·세대·종교 간 소통 문제도 우리 사회에서 개선책을 기다리고 있는 절실한 문제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 등 생활속 문제제기도 필요
강원택 숭실대 교수
불통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면서도 풀어내려는 구체적인 노력을 하지 않을 때 소통 가능성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한다.
보수-진보 간 불통 문제뿐만 아니라 진보 내부, 보수 내부의 불통 문제점도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며 소통 접점을 모색했다. 소통 대상 영역과 주체들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 댓글, 블로그 등에서도 시민 영역에서 불통 현상이 발견되고 있다. 일상 생활, 시민들의 불통 문제도 제기할 필요가 있다.
진보 - 보수 진영론적 사고 불식하길
조국 서울대 교수
< 시리즈 끝 >
ⓒ 경향신문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 칼럼===== > 한국, 소통합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소통합시다⑪]‘상생 모색’ 취지·노력 긍정적 (0) | 2009.09.07 |
---|---|
[한국, 소통합시다⑩]실험! 소통(7) 현 정부 경제·대북 정책 시각차 뚜렷 (2) | 2009.09.06 |
[한국, 소통합시다⑩]실험! 소통(7) 이상돈 - 윤창현 (2) | 2009.09.06 |
[한국, 소통합시다⑩]실험! 소통(7) 가깝고도 먼 ‘안보 보수’와 ‘시장 보수’ (2) | 2009.09.05 |
[한국, 소통합시다⑩]실험! 소통(6) 대중의 눈높이 못맞춘 주장들…‘진정성’ 부족했다 (2) | 2009.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