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의 임시 조직 중 대표적인 것이 선거 때 만들어지는 일명 ‘캠프’라고 불리는 것이다. 우파들이 운영하는 조직이나 회사는 많이 경험해 봤는데, 불행히도 한나라당 캠프는 아직 경험해보지 못했다. 독자들을 위해서 나경원 캠프에 대한 취재나 인터뷰도 해보고 싶었는데, 아무리 주변을 둘러봐도 불편을 끼치지 않고 부드럽게 만날 방법이 없었다. 양해해 주시기 바란다.

서울시장 선거에 나선 박원순의 선거캠프가 이 시점에서 가지는 실험적 중요성은, 선거에서 이기느냐 지느냐, 이런 단기적인 문제보다도 오히려 조직론적인 특징에 있다. 이 임시 조직이 보여주는 특징들은 다음 대선 이후 청와대 등 정부 운영의 원형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 실험이 성공해야 사람만 바꾸는 게 아니라 진짜로 사회 질서를 바꿀 수 있는 것 아닌가?
민주당 후보든 비민주당 후보든, 다음 대선을 위한 단일화 과정은 어떤 형태로든 연정이 될 가능성이 높다. 지방정부에서는 강원도와 경남도가 이미 이런 공동정부 형태로 도정을 운영하고 있다. 최문순의 경우는 민주당 중심의 연정이고, 김두관의 경우는 무소속 중심의 연정이다. 경남의 정무부지사는 민주노동당의 전 최고위원인 김병기가 맡고 있다.

나경원은 지금의 단일화 구도를 일종의 자리 나누기로 이해하고 있다. 그가 던진 질문은 과연 그렇게 여러 세력들이 자리 나누기를 통해 모인 게 제대로 돌아갔는가, 그래서 시정이 되겠는가, 그런 거라고 할 수 있다. 한나라당이든 민주당이든, 지금까지의 정치는 그렇게 돌아갔다.
그러나 이 ‘낙하산 행진’을 앞으로도 해야 하는 것인가? 경남도의 경우를 보면 아주 잘 돌아가고 있고, 정당의 직접적 개입이 없어도 도정에 크게 문제가 생겼다고 보기는 어렵다. 물론 김두관이 잘했다고 해서 박원순도 잘 할 거라는 보장은 없다. 그래서 지금 박원순 캠프가 갖는 조직론적인 속성이 더 중요하고, 무엇보다 서울 정치는 중앙정치의 축소판이라서, 지금부터 만들어나가는 원칙과 양상은 다음 정권이 만약 시민의 정부가 된다면, 그때 어떻게 국정운영이 될 것인가를 가늠하는 시금석이라고 할 수 있다.

경향신문DB


한나라당이든 민주당이든, 아직까지는 상명하복이 익숙한 조직이다. 이건 반드시 이런 거대정당이 정치 조직이라서 그런 게 아니라, 젊은이들을 볼 수 없는 늙은 조직이라서 그런 것 같다. 보스가 있고, 총재가 있던 시절부터 효율성을 위해서 상명하복이 조직 운영원리가 되었고, 중앙에서 내려보내는 ‘실탄’이 실제 바닥조직을 움직이는 힘이 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런 총재가 없고, 여당이나 야당이나 현재로서는 집단 지도체계에 가깝다. 그렇지만 카리스마와 돈으로 움직이던 이런 조직이 아직도 2010년대에 적합한 수평적 조직으로 전환되지는 않은 것 같다. 그들에게는 ‘젊은 피’가 너무나 없다. 한국 정당의 약점은, 20대 등 청년이 당원으로 가입하게 될 특별한 동력이나 계기를 만들지 못하니까, 마치 한국 농업에 이어 제조업에 고령화가 진행되는 것처럼 정당에도 고령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 중이라는 점이다. 국회의원만이 아니라 열성당원 그리고 당직자들도 고령화가 벌어진다. 물론 20대 보수가 아주 없지는 않지만, 정당구조의 고령화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박원순 캠프는 민주당이 주력이고, 시민단체 출신들은 생각보다 적었다. 휴직이나 사직을 하고 와야 하는 관계로 정당에서 파견나오는 것과는 사정이 좀 다르다. 여기에 민주노동당 등 진보정당 출신들과 진짜 일반 시민 자원봉사자가 연합군을 이룬 상태이다. 40대~50대가 주요 연령이고, 20대는 생각보다 적었다.
민주당 쪽에서 나온 사람들은 시민단체가 가지고 있는 수평적 의사결정에 약간 문화충격을 겪는 중인 듯싶었다. 시민단체는 누군가 지시하는 상명하복의 수직적 질서를 많이 덜어내, 한국의 어느 조직보다도 수평적이다. 박원순 캠프는 이렇게 대화를 많이 하고 같이 결정하는 방식으로 움직이는데, 기존 정당에서 온 사람들은 이걸 신선하게 받아들이는 듯싶다. 그러다보니 수평적 질서에 더 익숙한 20~30대 시민들과 여러 가지 면으로 정서적 동일감을 느끼는 게 현재까지의 특징이다. 박원순은 50대이지만 그의 선거 캠프는 수평적인 20대 문화와 잘 맞았다.

수직적 질서로 움직이는 나경원 캠프와 수평적 질서로 재편되어 가는 시민진영의 박원순 캠프, 두 캠프 중 누가 더 효율적이었는지는 결국 선거가 끝나봐야 알 수 있다. 앞으로 단일화 혹은 연정의 구도로 움직이는 조직이 더욱 많이 생겨날 때, 그런 조직이 자연스럽게 가질 모습의 원형을 박원순 캠프에서 보았다. 나도 희망이 생겼다. 다음 정부의 청와대가 지금 박원순 캠프가 가진 이 대화와 토론의 수평적 질서를 더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다면, 우리가 가진 많은 구태의연한 문제들을 자연스럽게 바꿔 나갈 수 있을 것 같았다.
일사불란하게 네거티브 작전을 짜는 캠프에 대해서 일관되지는 않지만 앞으로 만들어나갈 사회에 대한 토론이 많은 캠프의 대응, 두 개 조직의 격돌은 흥미로운 관찰대상이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